[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

 1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
 2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2
 3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3
 4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4
 5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5
 6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6
 7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7
 8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8
 9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9
 10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0
 11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1
 12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2
 13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3
 14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4
 15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5
 16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교육론]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시 교육의 의의와 방향
2. 서정시와 시 교육
II 본론
1. 작품 선정의 근거
2. 작가(김영랑) 분석
3. 작품(모란이 피기까지는) 분석
1) 시 형태의 완결성
2) 이미지와 정서의 교차 반복 구조
3) 운율 구조의 탄력성
4) 역설로서의 “찬란한 슬픔의 봄”
5) 운율과 이미지의 균형과 조화
6) 개별 어구 분석
4. 현행 교과 수록 부분과 지도서 내용 분석
1) 학습 목표
2) 교수·학습 방향
3) 교수·학습 활동
4) 시어·시구 연구
5) 작품수용
6) 심화학습
5. 교수·학습 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1. 시 교육의 의의와 방향
시를 가르치고 배우는 곳은 실로 다양하다. 그런 만큼 시를 가르치고 배우는 방법이나 목적도 다양하다. 초·중·고등학교에서 시는 국어나 문학의 교과 내용으로 국어 교육 또는 문학 교육의 목표에 맞는 활동의 자료라고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시 교육의 우리 사회의 곳곳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지만, 초·중·고등학교 교육만큼 그 영향력이 절대적인 곳은 없다. 실제로 학교 교육에서 시 교육은 제도 교육이라는 강제적 틀 속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교육의 보편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편이 된다. 즉 학교 교육에서 시는 말하기/듣기, 읽기/쓰기와 같은 활동의 자료이면서, 국어 활동 그 자체가 되기도 한다. 윤여탁 「시 교육과 사고력의 신장」, 월인, 2001

이런 시 교육의 목표 역시 문학 교육 일반의 목표 문학 교육은 ‘언어 능력의 증진’, '개인의 정신적 성장‘, '개인적 주체성 확립’, ‘문화의 계승과 창조 능력 증진’, ‘전인적 인간성 함양’을 목표로 한다.
김대행 외, 『문학교육원론』, 서울대출판부, 2000
에서 벗어날 수 없다. 다만 다른 문학 갈래와 현격한 차이가 있는 시의 특수성을 고려하는 차원에서 시 교육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고력 교육으로서의 문학 교육 김대행, 「문학과 사고력」, 김광해 외, 『초등용 사고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보고서, 1998
이 글에서는 문학과 사고력의 관계를 ‘다양성으로서의 사고력’, ‘문학의 형상성과 유추적 사고’, ‘문학의 체험성과 사고력의 구체성’, ‘문학의 인위성과 비판적 사고’등의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다.
의 틀 속에서 시 교육 역시 포괄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 이런 차원에서 국어 교육에서 사고력을 인지적 사고력과 정의적 사고력으로 크게 나누고, 인지 영역에 사실적 사고, 추리적 사고, 비판적 사고, 논리적 사고, 정의 영역에 정서적 사고, 심미적 사고, 윤리적 사고의 하위 범주를 설정하는 분류 방식이 최근의 사고력 연구에서 제안되었다. 이삼형 외, 『국어교육학』, 소명, 2000

이렇게 창작된 시 작품에 대한 이해의 국면에서는 작품을 이해하는 과정에 인지적 사고력과 정의적 사고력이 동시에 또는 시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달리 작용한다. 예를 들어, 시를 시적 속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인지적 사고력이 작용하지만, 이런 분석을 넘어 동화(同化), 감동, 이화(異化), 내면화 등을 지향하는 과정에서는 정의적 사고력이 주로 작용한다. 개인의 느낌이나 생각을 표현한 서정시의 경우에는 정의적 사고력이, 사회 현실에 대한 글쓴이의 현실 인식이 표현된 모더니즘 시나 리얼리즘 시의 경우에는 인지적 사고력이 이해의 중심에 놓인다. 이런 점에서 문학 교육, 특히 시 교육은 인간의 정서적, 미적, 윤리적 사고력 신장에 중점을 두어 이루어져야 한다.

참고문헌
윤여탁 「시 교육과 사고력의 신장」, 월인, 2001
김대행 외, 『문학교육원론』, 서울대출판부, 2000
이삼형 외, 『국어교육학』, 소명, 2000
박노균 『최고의 순수 서정시인 김영랑』, 건국대학교출판부, 2003
최하림 『시인을 찾아서』프레스21 1999
정상균 외,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출판사 1993
최승호 『서정시의 본질과 근대성 비판』다운샘 1999
고등학교 문학(하) 교과서 지학사
고등학교 문학(하) 교과서 금성출판사
고등학교 문학(하) 교사용지도서, 지학사
고등학교 문학(하) 교사용지도서, 금성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