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

 1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1
 2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2
 3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3
 4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4
 5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5
 6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6
 7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7
 8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8
 9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9
 10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10
 11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11
 12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12
 13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13
 14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14
 15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15
 16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16
 17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교육론] 김춘수의 `꽃`분석과 문학교육적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1-1. 논의의 목적
1-2. 관련 연구 검토
1-3. 연구의 방법 및 범주
Ⅱ. 작가와 작품
2-1. 작가 : 김춘수
2-2. 분석 작품 : 『꽃』
Ⅲ. 문학 교육의 실제적 분석
3-1. 문학교육의 실제 : 본문 수록 교과서인「금성 고등학교 문학(상)」 중심
Ⅳ. 현장 문학 교육에의 적용
4-1.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을 통한 시 교육
4-1-1.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을 통한 시 교육의 정의
4-1-2.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을 통한 시 교육의 의의 및 효과
Ⅴ. 나오는 말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1-1. 논의의 목적
1955년에 1차 교육과정이 나온 뒤로 최근에 이르기까지 중․고등학교의 국어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제시한 것은 7차에 걸쳐 개편된 국어과 교육과정이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2001년에는 중학교 1학년, 2002년에는 고등학교 1학년부터 연차적으로 7차 교육과정이 적용되어 2004년까지 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가 전면 사용된다. 7차 교육과정의 국어교과서는 이전과는 달리 편찬과정에서 ‘국정교과서 공모제’가 도입되어 고려대학교․한국교원대학교 연합팀이 개발한 교과서가 채택되었다.
교육과정의 변화는 곧 교과서의 개편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간 일곱 차례나 교과서가 바뀐 셈이다. 그러나 ‘지난 반세기에 일곱 차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바뀌었으나 실제로 교육활동이 바뀐 것은 이렇다 하게 눈에 띄지 않았다’ 김수업(1999), 「빠른 세상에 느린 교육」, 『함께여는 국어교육』가을 호, 전국 국어교사 모임, 29쪽.
는 지적에 공감하는 이들이 많다.
1987년에 내놓은 5차 이후의 교육과정에서는 그 동안의 지식 중심, 즉 문학과 어학 지식전달 중심의 교육에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언어’, ‘문학’ 등 6개 영역별로 ‘언어사용기능’ 중심의 교육으로 방향이 변화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변화가 곧 학생들의 언어사용 능력과 문학 감상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것은 아니었다. 또한 ‘언어사용기능’ 중심의 교육과정 적용으로 기존의 교사가 주도하여 지식전달에 치우친 권위주의적인 수업 방법을 완전히 극복한 것은 아니었다.
고등학교의 문학교육은 국어교육의 큰 틀 속에서 지속되어 왔기 때문에 국어교육의 문제점은 곧바로 문학교육의 문제점으로 연결되었다. 그 결과 문학 텍스트를 가르치는 교실수업 모형은 한 동안 지식 전달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졌다. 이 모형에서 교사는 작가의 전기적 사실을 가르치고, 문학이론에서 활용하게 되는 다양한 개념을 익히게 하며, 수사법을 가르친다. 전지적인 교사에 비해 학생들은 아무 것도 모르는 존재들이며 선생님의 설명을 받아 적고, 암기하며, 시험을 치른다. 이러한 지식 전달에 치중한 교사 중심 수업의 문제점은 수업의 한 주체인 학생들을 수동적이고 피동적인 존재로 만들어 버렸다는 것이다.
이와는 대조적인 학생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최근의 교실수업 모형이 있다. 교사와 학생들은 텍스트를 중심에 두고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 소설의 뒷이야기를 써 보기도 하고, 텍스트에 관한 감상을 돌려 읽기도 한다. 학생 자신의 경험과 관련해서 텍스트 읽기를 권유하기도 하며 학생들은 저마다 자신들의 경험 세계 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텍스트를 감상한다. 수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사람은 교사가 아니
참고문헌
김준오, {시론}
김준오 - 김춘수의 무의미시. {부대논문집} 1980
조남익 {한국 현대시 해설} 미래문화사
권기호 외 {김춘수 시 연구} 흐름사
부산대 {국어국문학지} 1986년호
{김춘수 시선집} 문학세계사
금성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상)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