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

 1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1
 2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2
 3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3
 4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4
 5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5
 6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6
 7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7
 8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8
 9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9
 10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10
 11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11
 12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12
 13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13
 14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14
 15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15
 16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16
 17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17
 18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18
 19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19
 20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교육론] 황순원의 `학`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 내가 생각하는 문학 교육이란
II. 본론
1. 작가 황순원 분석
2. 소설「학」분석
3. 교과서 분석 : 현재 교수-학습 상황
3-1. 작품 선정의 취지
3-2. 지도의 핵심
3-3. 블랙박스
3-4. 디딤돌
4. 내가 생각하는 소설「학」의 필요성
4-1. 배경의 중요성 학습
4-2. 영 교육과정 중 통일 교육의 일환
4-2-1. 동아 출판사
4-2-2. 영 교육과정
4-2-3. 통일 교육
5. 교수 학습 원리
5-1. 다양한 시청각 자료의 활용
5-2. 문답법
5-3. 배경이 같은 소설과의 연계
5-4. 시점이 혼용된 소설과의 연계
5-5. 장르간의 연계
6. 교수-학습 모형 : 읽기 중 활동과 읽기 후 활동을 중심으로
6-1. 읽기 중 활동 모형 예시
6-2. 읽기 후 활동 모형 예시
6-3. 통일 교육 모형 예시
III.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 내가 생각하는 문학 교육이란

승화된 이별의 정한(情恨)이라고 일단 이해할 수 있는 이 시의 주제는 전통적 시가인 ‘가시리’나 황진이의 시조 ‘어저, 내 일이야~’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것이다. 그러나 ‘진달래꽃’에서 그러한 주제를 이끌어 내는 것만으로 작품을 완전히 이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얼핏 보기에는 단순한 듯한 이 시적 진술 속에는 한마디로 단정되기 어려운 아주 미묘하고 야릇한 감정의 움직임이 엿보인다. 여성으로 짐작되는 이 시의 화자는, 표면적으로 적어도 임과 언제 이별을 하더라도 무방하다는 태도를 보이지만, 이와는 정반대로 어떠한 일이 있어도 결코 임을 보내고 싶지 않다는 진심을 그 속에 숨겨 놓고 있다. 표면적인 과장과 허세가 역설적으로 그의 내면적 진실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그 특유의 과장은 제 2,3연에서 확인된다. 임이 가시는 길에 진달래꽃을 뿌릴 테니 그것을 즈려 밟고 가 달라고 화자는 말한다. 떠나가는 사람 앞에 꽃을 뿌린다는 것은 물론 비현실적인 행위이지만, 그것이 아름다운 이유는 임의 배신에도 불구하고 나의 사랑이 변함없다는 데 있다. 그 행위는 표면적으로는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산화공덕(散華功德)’ - 임의 가시는 길에 꽃을 뿌려 그 걸음을 영화롭게 한다는 축복의 의미를 지닌다. 김태형ㆍ 정희성 엮음,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문원각, 1995. 89쪽


그리고 2행의 가실 때라는 언표는 이별의 시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는 미래 가정법의 시제다. 따라서 「진달래꽃」에 드러나고 있는 이별은 현재 상황의 이별이 아니다. 미래에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의 가정이다. 그러므로 이는 미래에 대한 예견과 준비의 언술이다. 현재에 따라오는 미래의 상황을 미리 읽고 있는 것이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르는 모든 것의 예외 없는 절대적 변화 읽기를 보여 주는 것이다. 즉, 사랑의 관계라는 화해적 관계가 시간의 흐름 그 후 언젠가는 이별의 관계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담담하게 인정하고 또한 알고 있는 것이다. 미리 예견할 뿐 아니라 충분히 준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이 예견과 충분한 준비의 이별하기이기 때문에「진달래꽃」의 화자는 이별의 충격을 맞이하여도 전혀 감정의 혼돈을 겪지 않는다. 이별을 슬퍼하거나 하는 정서 기울기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이별을 충실히 살아낼 뿐인 것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우주의 질서에 놓인 한 생명체로서 자신에게 분배된 이별의 길을 다만 갈 뿐인 것이다. 그러므로「진달래꽃」의 이별 언술은 담담하며 오히려 선언적 당당함까지 읽게 한다. 또한 화자의 목소리는 이별의 슬픔에 눌린 여성의 가녀린 목소리나 체념, 또는 哀而不悲하는 목소리가 아니라 哀마저도 가지지 않는 담담한 초월의 목소리다. 유교적, 대립적 세계 인식보다는 오히려 초월적 해체적 세계 인식이
참고문헌
1. 블랙박스 문학 교과서와 지도서
2. 디딤돌 문학 교과서와 지도서
3. 동아출판사(1995) 문학(상) 교과서(김열규, 신동욱)
4. 문승준ㆍ이재인 엮음, 우리 소설 50선, 성림 출판사, 1995
5. 김태형ㆍ이병렬ㆍ한규영 엮음, 현대 소설의 이해와 감상 2, 문원각, 1995
6. 김태형ㆍ 정희성 엮음,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문원각, 1995
7. 김진ㆍ오성호ㆍ유성호ㆍ최관수ㆍ최달오, 문학(하), 동아출판사
8. 동시영, 현대시의 기호학, 미리내, 2000
9. Doug Buehl 지음, 노명완ㆍ정혜승 옮김, 협동적 학습을 위한 45가지 교실 수업 전략, 박이정, 2002
10. 유광찬,『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994
11. 유봉호, 정영주『교육과정․교육평가』, 교학연구사, 1998
12. 조승제,『교육과정과 평가』, 교육과학사, 2002
13. 최원형,『교육과정 이론』, 원미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