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

 1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1
 2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2
 3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3
 4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4
 5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5
 6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6
 7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7
 8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8
 9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9
 10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10
 11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11
 12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12
 13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13
 14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14
 15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15
 16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16
 17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17
 18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18
 19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19
 20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아시아신화][만족(만주족)][몽골][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1. 4모링
2. 5모링
3. 6모링
4. 7모링
5. 8모링
6. 9모링

Ⅲ. 동아시아신화와 몽골

Ⅳ. 동아시아신화와 티벳(티베트)

Ⅴ. 동아시아신화와 남조대리

Ⅵ. 동아시아신화와 아이누
1.
2.
3.
4.

Ⅶ.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1. 곤륜산(昆侖山)
2. 구미호(九尾狐)
3. 도(Doh)
4. 마이데레(Maidere)
5. 방중술(房中術)
6. 신공황후(神功皇后)
7. 여와(女와)
8. 장도릉(張道陵)
9. 허유(許由)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동아시아 창세신화의 유형과 관련해서는 이미 여러 견해들이 제출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세계 창세신화에는 󰡔성서(聖書)󰡕의 「창세기(創世記)」처럼 창세주가 직접 존재하고, 일관되게 등장하여 천지와 인간을 관장하는 유형인 천지창조형, 개념을 명백히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천지가 저절로 나뉘고 만물이 형성되는 것을 지적하는 것으로 보이는 천지개벽(분리)형의 두 유형이 있다는 견해이다. 그러나 이런 식의 유형 분류가 자료의 실상에 기초한 분류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없지 않다. 천지창조형의 유일한 예로 거론한 󰡔성서․창세기󰡕의 경우 자연상태의 신화가 아니라 어떤 기술원리에 의거하여 이미 ‘정리되어 기록된’ 신화이므로 그것을 유형 분류의 준거로 삼는 것은 적절한 방법이 못된다. 그리고 유일하다고는 말하지 않을 지라도 하나의 창세신이 등장해서 천지만물과 인간을 창조하는 신화가 에만 있는 것도 아니다. 선험적 전제에 의해서가 아닌 자료의 실상으로부터 귀납된 유형분류가 긴요하다.
중국 내 여러 민족의 창세신화를 대상으로 자생형(自生型)․태생형(胎生型)․난생형(卵生型)․개벽형(開闢型)․창조형(創造型)․변성형(變成型)으로 나누는 타오양과 쫑시우[陶陽․鍾秀]의 분류방식도 있다. 창세의 방법을 기준으로 삼은 이 여섯 갈래의 유형체계는 창세의 다양한 형식을 드러내는 데는 유효하다. 그러나 실제자료를 대상으로 이 분류방식을 적용할 경우 한 자료가 동시에 여러 유형에 속할 수도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문헌 자료로 전해지는 중국 판꾸[盤古]창세신화의 경우 판꾸는 이른바 우주란(宇宙卵)이라고 하는 알 속에서 잉태되므로 난생형에 속하기도 하고, 도끼를 휘둘러 천지를 쪼개므로 개벽형에 속하기도 하고, 후에는 몸이 해체되어 만물을 만들어내므로 변성형에 속하기도 할 것이다. 그렇다면 판꾸신화는 어떤 유형에 속하는가? 자료를 일관성 있게 분류하는 데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이에수시엔[葉舒憲]은 서양의 분류체계를 빌어와 창세신화의 유형을 1)지고창세신에 의한 창세, 2)우연한 생성을 통한 창세, 3)세계부모에 의한 창세, 4)우주란에 의한 창세, 5)육지의 잠수자에 의한 창세, 그리고 여기에 중국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유형인 6)사체화생(死体化生)에 의한 창세를 더하여 여섯 갈래로 나누고 있다. 이 여섯 유형을 타오양․쫑시우의 분류와 비교해 보면 1)은 창조형과 유사하기는 해도 중국에는 유일신관념이 없으므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2)는 자생형에, 3)은 태생형에, 4)는 난생형에, 6)은 변성형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5)는 해당사항이 없다. 그렇다면 이런 식의 분류 역시 위의 분류와 동일한 난관에 빠질 수 있다. 분류 자체가 모든 것을 설명해 줄 수는 없지만 분류의 일관성을 염두에 둔다면 단지 우주가 시작되는 형식만을 근거로 삼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좀더 본질적인 국면을 분류의 준거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리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서상필(2008), 신화를 통한 다문화 교육 방안 : 동아시아 건국신화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 서대석(2000), 동아시아 영웅신화의 비교연구, 한국구비문학회
◇ 임현진(1998), '근대화'를 통해 본 동아시아의 발전 : 신화와 현실, 청계사학회
◇ 윤학노(1987), 고대 동아시아 신화의 한 단면, 동국대학교사학회
◇ 정재서(2005), 동아시아 신화의 비교학적 분석 및 인문학적 재정의, 한국중국소설학회
◇ 하영선(2007), 동아시아공동체 : 신화와 현실,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