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

 1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1
 2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2
 3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3
 4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4
 5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5
 6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6
 7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7
 8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8
 9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9
 10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10
 11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11
 12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12
 13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13
 14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14
 15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15
 16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16
 17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17
 18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18
 19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19
 20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아동복지론] 장애아동복지사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애의 개념 및 유발요인
1-1. 장애의 개념
1-2. 장애의 유발요인

2. 장애아동의 개념 및 유형
2-1. 장애아동의 개념
2-2. 장애아동의 발달배경
2-3. 장애아동의 유형
2-4. 우리나라 장애아동의 현황 및 실태

3. 장애아 가족의 일반적인 문제
3-1. 장애아 가족의 일반적인 문제
3-2. 장애아동이 있는 가족의 위기

4. 장애아동복지
4-1. 장애아동복지의 개념 및 정의
4-2. 장애아동과 장애인복지대책의 기본구조
4-3. 한국의 장애아동복지에 관한 분석
4-4. 외국의 장애아동복지에 관한 분석
4-5. 장애아동사업의 과제
4-6. 장애아동사업에서의 사회사업가의 역할

Ⅲ.결론

1. 문제점 및 개선방안
2. 느낀점


본문내용
Ⅰ. 서론

1995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된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추정된 장애인 가운데 18세 미만의 장애인은 약 5만여 명(5%)으로, 1985년 실태조사 결과(19.3%)와 비교하였을 때 장애아의 비율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장애아동의 장애건수는 총 92,500여 건으로 대부분 중복장애가 있어, 전체적인 장애아 비율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장애아동에 대한 지원이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아동의 장애는 성인기에 재해나 사고로 인해 단순장애를 갖게 되는 경우와는 다르게 어린 시기부터 장애를 지니고 평생을 살아야 하기 때문에 성인 장애인과는 다른 독특한 복지욕구가 있다. 첫째, 아동의 장애는 모든 면에서 왕성한 발달이 이루어지는 단계에서 발생하므로 아동의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발달과 함께 극복되어야 하고, 따라서 장애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따른 적절한 복지적 조치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둘째, 아동기에 장애가 재활 되어야 이들이 자라서 독립적이고 자립된 생활을 하게 되어 사회적 부담을 덜 수 있고, 동시에 생산적인 사회의 한 성원으로서 사회에 공헌하며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셋째, 아동의 장애는 우선적으로 아동 자신이 일생 동안 지니고 있어야 할 개인적 불행인 동시에 장애 아동을 돌보는 가족에게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장애아동을 가진 가족은 그에 따른 경제적, 심리적 부담도 가족 간의 갈등이 야기되어 그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가족의 역기능으로 인해 장애아동의 보호가 소홀해지고 심지어 가족이 장애아동의 보호를 포기하고 있다. 따라서 장애아동이 가족 내에서 정상적으로 보호받고 재활을 통해 사회의 한 성원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장애아동의 지원이 가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장애아동복지의 궁극적 목적은 사회적 통합이며 이를 위한 정상인과 같은 권리와 의무를 누릴 수 있도록 잔존 능력과 더불어 잠재 능력을 개발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장애아동이 자신의 장애를 극복하고 자신의 능력에 따라 사회인으로서 성장하려면 다면적이고 다차원적 재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재활과정은 지속적이고 조직적이어야
참고문헌
김익균외 3명. 대학출판사(2001)
김현용외 5명. 도서출판 소화(1997)
허남순외 9명. 도서출판 소화(2002)
교육부(1996)
보건복지부(1997)
일본의 아동복지법 (1998)
영국의 아동복지법 (1989)
한국의 아동복지법 (2002)
한국의 장애인복지법 (1999)
한국의 특수교육진흥법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