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

 1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1
 2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2
 3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3
 4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4
 5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5
 6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6
 7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7
 8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8
 9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9
 10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10
 11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11
 12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12
 13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13
 14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14
 15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15
 16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16
 17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17
 18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18
 19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19
 20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주 4.3 항쟁 영향과 의의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동향
1. 1950~ 1960년대
2. 1980년대
3. 1990년대
4. 2000년대 이후

Ⅲ. 제주4‧3의 배경

1. 8·15 직후의 제주도 상황과 인민위원회 활동
1) 제주도 인민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2) 미군의 제주도 진주와 인민위원회
3)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선거투쟁
2. 1947년 3·1사건 및 3·10 총파업과 남로당
1) 남로당 제주도당과 민전 결성
2) 3·1사건 및 3·10 총파업
3. 미군정·우익청년단체의 탄압과 남로당 대응
1) 3·1사건 이후의 제주도 상황
2) 제주도당 조직개편과 입산

Ⅳ. 제주4‧3의 전개

1. 항쟁의 발발 : 목표와 전술
2. 인민유격대 조직과 무장력
3. 4·28회담과 5·10단선단정반대투쟁

Ⅴ. 미군정·이승만 정권의 제주4‧3에 대한 인식
1. 미군정의 제주4‧3에 대한 인식
1) 제주4‧3의 발발과 미군정의 대응
2) 5·10 선거 이후 미군정의 인식과 대응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정권의 제주4‧3에 대한 인식

Ⅵ. 제주4‧3의 영향 및 의의
Ⅶ. 맺음말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머리말

2013년은 제주 4·3 사건이 일어난 지 65년이 되는 해이다. 그런 탓인지 올해에 제주 4·3 사건을 소재로 ‘지슬’이라는 독립영화가 3월 21일에 개봉을 했고, 독립영화로는 최고의 선전을 한 채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현재의 사람들에게 내륙과 동떨어진 제주도에서 일어난 4·3 사건은 생소하면서도 머나먼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사건을 화두로 이끌어와 영화를 만들어 나름의 성공을 거두었단 사실은 많은 시사점을 안겨준다.
제주 4·3사건은 오랜 세월동안 핍박받아온 존재였다고 할 수 있다. 3년간의 치열하고도 가혹한 전쟁이 끝이 나고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는 반공 이데올로기가 지배적으로 자리 잡게 된다. ‘빨갱이’는 죽여야 할 적이었으며,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가장 큰 요소 중의 하나였다. ‘빨갱이’와 엮이면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에서 살아남기란 요원한 일인 것이 분명했던 것이다. 이러한 환경 속의 50년대는 4·3 사건을 평가하는 데에 굉장히 야박했다고 할 수 있다. 그때 당시에 4·3 사건은 하나의 치욕적이면서도 회피할 수밖에 없는 존재였다. 어떠한 공식적인 언급도 50년대에 있었던 적이 없었다.
60년대에 들어와서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단순히 여론의 변화만이 있었을 뿐이다. 즉 4·19 혁명을 통해 이승만의 정권이 거꾸러지고 난 뒤에서야 비로소 4·3에 대한 조명했었던 것이다. 이러한 4·3에 대한 진상규명 및 지속적인 관심은 70년대 후반에 들어서야 가능해졌고, 80년대에 들어서 미군정의 조사 보고서의 발견과 더불어, 이에 따른 학계에서의 관심이 4·3 사건을 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었다. 그러나 90년대에 들어와서는 4·3 사건이 항쟁의 역사에서 정치적 이슈로 부각되어 나타나면서 그 의미가 변질이 되고 많은 문제점을 낳았다. 그리고 4·3 사건의 주체가 분명히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제주 4·3 특별법’과 같은 수혜적인 모습으로 당시의 피해자들과 그 피해자들의 유족들을 위로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나 그 가해 주체를 흩트리려는 모습이 다분히 나타난다. 그러다가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이 4·3 사건을 단순히 하나의 측면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총체적인 관점에서 그것을 보려고 하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해방이후 좌우합작을 통해서 통일된 정부수립을 위해 많은 민중항쟁들이 있었다. 하지만 미군정과 정부의 테러와 폭력 하에 무참히 짓밟혔다. 그런 모진 폭력과 수난을 견디면서 1년간 항쟁을 추진해 온 제주4·3은 통일정부수립을 위한 민중항쟁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주4·3의 배경과 과정들을 통해서 이들의 통일정부를 위한 열망이 얼마나 컸고 비참했는지, 4·3특별법 제정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미군정과 한국정부의 태도에 대해 어떤 판단을 가져야 할지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준다. 그것이 우리가 제주4·3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참고문헌
양정심, 『제주4·3항쟁 – 저항과 아픔의 역사』, 선인, 2008
박세길, 『다시쓰는 한국현대사-1. 해방에서 한국전쟁까지』, 돌베개, 2004
박지향·김철·김일영·이영훈 엮음, 『해방전후사의 재인식-5부 해방공간』, 책세상, 2006
김동만, 「초점 : 해방직후 지방정치 연구 제주지방 건국준비위원회 인민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역사비평 14』, 역사비평사, 1991.2, p 191-207
양정심, 「미군정ㆍ이승만 정권의 제주4ㆍ3항쟁에 대한 인식 」『한국근현대사연구 37』, 한국근현대사학회, 2006.6, p. 270-304
양정심, 「4·3을 바라보는 눈, '폭동'에서 항쟁의 역사로」, 『내일을 여는 역사 11』, 내일을 여는 역사, 2003.2, p 102-116
양정심, 「제주 4·3항쟁에 대한 연구동향」, 『역사와현실 17』, 한국역사연구회, 1998.3, p 247-261
양정심, 「제주 4ㆍ3 특별법과 양민학살 담론, 그것을 뛰어 넘어」, 『역사연구 7』, 역사학연구소, 2000.6, p. 271-28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