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

 1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1
 2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2
 3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3
 4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4
 5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5
 6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6
 7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7
 8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8
 9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9
 10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10
 11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11
 12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12
 13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13
 14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14
 15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15
 16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16
 17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17
 18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18
 19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19
 20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기타
  • 2004.12.11
  • 30페이지 / ppt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논문작성법]논문 작성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졸업 논문이란 무엇이며 어디에 필요한가
1.1 왜 논문을 써야 하며 또 논문이란 무엇인가
1.2 이 책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1.3 졸업 후에도 논문은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1.4 네 가지 명백한 규칙

제 2장 테마의 선택
2.1 단일주제 논문인가, 아니면 파노라마 식 논문인가
2.2 역사적 논문인가, 아니면 이론적 논문인가
2.3 옛날의 테마인가, 아니면 현대적 테마인가
2.4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가
2.5 필수적으로 외국어를 알아야 하는가
2.6 논문인가, 아니면 정치적 논문인가
2.6.1 과학성이란 무엇인가
2.6.2 역사적- 이론적 테마인가, 아니면 경험인가
2.6.3 어떻게 오늘날의 테마를 과학적인 테마로 전환시키는가
2.7 지도교수에게 이용당하는 것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제3장 자료조사
3.1 출처의 입수가능성
3.1.1 과학적 작업의 출처란 무엇인가
3.1.2. 직접적인 출전 및 간접적인 출전
3.2 참고문헌 조사
3.2.1 도서관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3.2.2 참고문헌을 어떻게 다를 것인가
3.2.3 참고문헌의 인용
3.2.4. 알렉산 드라이의 도서관 : 하나의 실험
3.2.5 그런데 책을 읽어야 하는가? 그리고 어떤 순서로 읽어야 하는가
제 4장 작업 계획 및 카드 정리
4.1 작업의 가설로서의 차례
4.2 카드와 메모
4.2.1 카드의 여러 가지 형태 : 카드는 어디에 필요한가
4.2.2 1차적 자료의 카드 정리
4.2.3 독서카드
4.2.4 학문적 겸손

제5장 원고쓰기
5.1 누구에게 말하는가
5.2 어떻게 말할 것인가
5.3 인용문
5.3.1 언제 그리고 어떻게 인용하는가 : 열 가지 규칙
5.3.2 인용, 부연설명 및 표절
5.4 페이지 아래의 각주
5.4.1 주는 어디에 필요한가
5.4.2 인용- 주 방식
5.4.3 저자 - 연도방식
5.5 주의사항, 함정관례
5.6 학문적 자부심

제 6장 최종적인 원고작성
6.1 서법상의 기준들
6.1.1 모서리와 여백
6.1.2 밑줄 치기 및 대문자
6.1.3 절
6.1.4 따옴표 및 다른 부분들
6.1.5 판독 부호 및 바꾸어 쓰기
6.1.7 몇 가지 두서 없는 충고들
6.2 최종적인 참고문헌
6.3 부록
6.4 차례

제7장 결론




본문내용
졸업논문이란 평균 100 페이지에서 400페이지 사이의 다양한 길이로 타자를 친 연구 작업 물로서 이탈리아의 법률에 의하면 모든 졸업 논문은 졸업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이탈리아의 대학에서의 진정한 의미에서의 논문은 일종의 졸업 이후의 학위인 박사학위를 위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단지 학문적인 연구자로서 자신을 완성하고 전문화하려는 사람들이 지원한다. 그런데 박사과정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석사과정을 위한 사람들이 있다.

논문이란 것이 왜 그토록 많은 시간이 걸리는가 하는 것은 바로 독창적인 연구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런 논문에서는 물론 동일한 테마에 대해 다른 학자들이 말했던 것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다른 학자들이 말하지 않은 무엇인가를 해야 한다. 거창한 것이 아니어도 좋다. 소박한 발견이 있을 수도 있다. 어떤 고전 문헌을 새로이 읽고 해석하는 방법이나 어느 작가의 전기를 새로이 읽고 해석하는 방법이나 어느 작가의 전기를 새로이 조명해 줄 필사본 원고의 발견, 여러 가지 상이한 텍스트 안에 흩어져 있던 사상을 체계화하고 완성시켜주는 이전 연구들의 재구성 및 재해석도 역시 과학적인 연구 결과로 간주된다.

이러한 연구논문이 아닌 편집 논문이 있을 수도 있다. 편집 논문에서 학생은 단순히 대부분의 기존 문헌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파악하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다양한 관점을 서로 연결시키려고 노력하면서 그러한 견해를 명백하게 설명 함으로서 바로 그 단일한 문제에 대해서는 깊이 연구하지 않은 그 분야의 전문가에게도 정보 적인 관점에서 유용한 지성적 조망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 된다. 편집논문을 할 것이냐 아니면 연구논문을 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이 문제이다. 젊은 연구가가 진정한 연구를 하기 전에 몇몇 개념을 잘 정리해서 명백히 밝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집이 진지한 작업이 될 수도 있다.
편집논문과 연구논문 사이의 선택은 지원자의 작업 능력 및 성숙도와 연관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경제적인 요인과도 연결되어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