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고전시가 속에 나타난 농기구의 해석 -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

 1  우리의 고전시가 속에 나타난 농기구의 해석 -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1
 2  우리의 고전시가 속에 나타난 농기구의 해석 -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2
 3  우리의 고전시가 속에 나타난 농기구의 해석 -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3
 4  우리의 고전시가 속에 나타난 농기구의 해석 -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4
 5  우리의 고전시가 속에 나타난 농기구의 해석 -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5
 6  우리의 고전시가 속에 나타난 농기구의 해석 -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6
 7  우리의 고전시가 속에 나타난 농기구의 해석 -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7
 8  우리의 고전시가 속에 나타난 농기구의 해석 -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8
 9  우리의 고전시가 속에 나타난 농기구의 해석 -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9
 10  우리의 고전시가 속에 나타난 농기구의 해석 -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의 고전시가 속에 나타난 농기구의 해석 -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서론
우리의 고전시가 속에는 수많은 소재들이 등장한다. 하늘, 별, 달, 물 등을 포함하는 원초적 자연물을 비롯해 머리, 손, 발 등을 포함하는 사람의 신체도 하나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이루 말할 수 없는 많은 것들이 고전시가 속에 소재로 차용되면서 그 시가를 이루고 있다.
예로부터 우리 선민들은 농경생활을 하면서 살아왔기에 농기구는 우리들과 뗄래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요즘처럼 정보산업이 발달되지 않은 과거-역사를 거슬러 조선, 고려 더 나아가서는 원시시대를 포함하는-에는 농경이 가장 큰 생활이었고 생업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당시 사람들 주위에는 항상 농경을 위한 도구들이 있었고 그들은 그들에게 가장 가까이 있는 그러한 농기구를 통해 자신들의 생활감정을 노래한 경우가 많으리라는 것을 우리는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 시가 작품 속에서 농기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작음을 떠나서 그러한 농기구를 사용해 시가를 지었다는 점, 그리고 그러한 농기구를 통해서 자신들의 생활을 보다 선명하게 나타낼 수 있었다는 점 등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잘 알다시피 고전시가의 장르는 향가, 시조, 가사, 판소리 등 다양하다. 우리는 그 중에서 농민들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여겨지는 ‘민요’와 ‘판소리’를 중심으로, 그리고 그러한 작품들 안에서 흔히 발견되는 소재인 ‘방아’를 좀 더 중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우리는 고전시가 속에 등장하는 농기구-방아를 중심으로-가 작품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 그리고 그 속에서 지니는 의미를 살피며 아울러 원형 비평을 통해 보다 보편적인 의미를 찾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권오경, 「방아노래의 존재 및 변모양상-기능을 중심으로-」, 문학과 언어연구회, 1993.
김광순 외,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한국문화총서 제 17집, 을유문화사, 1976.
민속학회, 「한국 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 1995.
배영주,「심청전에 나타난 골계의 이본별 특성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신동원, 「변강쇠가로 읽는 성․병․주검의 문화사」, 역사비평사, 2004.
이규호, 「‘방아노래’의 文學的 受容樣相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1983.
이규호, 「한국고전시가 연구」, 새문사, 2004.
이동철, 「‘정선아리랑’의 주제와 의식의 몇 국면」, 연민학회, 1999.
장덕순 외, 「구비문학 개설」, 일조각, 1971.
최운식, 「심청전」, 시인사, 1996.
허왕욱, 「고전 시가에 나타난 성(性) 표현의 양상」, 허왕욱,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