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

 1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1
 2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2
 3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3
 4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4
 5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5
 6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6
 7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7
 8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8
 9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9
 10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10
 11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11
 12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12
 13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13
 14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14
 15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15
 16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16
 17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17
 18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18
 19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19
 20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 시인론 - 시인 정지용[鄭芝溶]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작가 선정 동기

Ⅱ. 기초연구

1. 개인적 배경
가. 고독한 유년 시절
나. 민간 전승과 전설 속에서 보낸 유년시절
다. 객지 생활의 고독
라. 자녀의 잇따른 죽음
2. 사회적․역사적 배경
3. 문학적 배경
4. 활동상황

Ⅲ. 본론

1. 작품경향

가. 초기 시의 경향

(1) 동요․민요풍의 시
(2) 연정․이별의 시
(3) 고향상실과 망국민 의식

나. 중기 시의 경향

(1) 혈육상실과 父情
(2) 신앙시를 통한 종교적 극복과 그 한계

다. 후기 시의 경향

(1) 산(山)의 세계
(2) 자연과의 합일에서 더 나아간 죽음과의 합일

2. 정지용의 문학사적 의의와 한계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 작가 선정 동기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나를, 그야말로 ‘지배’ 하고 있던 심상은 다름 아닌 「상실감」이었다. 더 이상 황제도 없고, 왕도 없으며, 수호해야 할 절대적인 가치도 존재하지 않고, 심지어는 神마저도 죽었다고 하는 시대. 모든 것이 상대주의라는 이름의 불확실성 속에 놓여져 있는 현대에 살고 있는 나. 나를 포함한 이 곳의 사람들은 그만큼의 자유를 얻었지만, 정신없이 그 모습을 바꾸어 대는 가변성 속에서 끊임없는 상실 체험을 반복해야만 하는 시대에 살게 되었다.

어제에 진실이라 믿었던 가치가 내일이면 거짓이 된다. 아니, 이 곳에서는 진실이었던 것이, 등 돌려 저쪽에서는 당장 거짓이 되곤 한다. 어제까지 절대적인 것이라 믿고 몸담았던 가치가 일순간에 무너지는 것을 목격하게 되면 사람들은 마치 그 자신이 무너지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가치의 변화 속도가 급속도로 빨라진데다 동일한 시점 위에서도 저마다 다른 가치들이 제각기 목소리를 높여 자신을 주장하고 있는 이 시대에, 사람들은 마치 뿌리를 잃어버린 나무처럼 여기저기를 헤매고 있다.

신이 죽어버린 시대에 태어났기에, 그들은 끊임없이 신을 찾아 헤맨다. 때로는 유명 10대 댄스그룹이 그들의 신이 된다. 때로는 신용카드와 지폐가 그들의 신이 된다. 때로는 순간적인 감각적 쾌락의 추구가 그들의 신이 된다. 때로는 명예와 권력이 그들의 신이 된다.

서두가 길었지만, 이와 같이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나를 사로잡고 있던 심상은 바로 ‘상실감’ 이었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

정지용 시 연구, 장도준, 태학사, 1994.
정지용, 김은자, 새미, 1996.
정지용, 이숭원, 문학세계사, 1996.
정지용 - 20세기 한국시의 성좌, 민병기,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6.
정지용 시의 심층적 탐구, 이숭원, 태학사, 1999.
정지용 시의 공간과 죽음, 김종태, 월인, 2002.
정지용 동시 연구 - 특히 상실의식을 중심으로, 전병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하고 싶은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