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

 1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1
 2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2
 3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3
 4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4
 5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5
 6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6
 7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7
 8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8
 9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9
 10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10
 11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방언학] 전라북도 방언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음운적 특징
1.1 음소목록
자음 19개와 단모음10개, 유음 1개와 활음 2개 그리고 이중모음 9개를 가진다.
․ 자음 : /ㅂ(p), ㅃ(pʼ), ㅍ(pʰ); ㄷ(t),ㄸ(tʼ),ㅌ(tʰ); ㅈ(č),ㅉ(čʼ),ㅊ(čʰ);ㄱ(k), ㄲ(kʼ), ㅋ(kʰ); ㅅ(s), ㅆ(sʼ); ㄹ(l); ㅁ(m), ㄴ(n), ㅇ(ɳ), ㅎ(h), (ʔ), /
․ 단모음 : /이(i), 에(e), 애(ɛ), 위(ü), 외(ö), 으(ɯ), 어(ə), 우(u), 오(o), 아(a)/
․ 이중모음 : /예(je), 얘(jɛ), 여(yə), 야(ja), 요(jo), 유(ju), 웨(we), 왜(wɛ), 워(wə)/
․ 활음: /j, w/
위의 음소 목록 중에서 ‘ ’은 표준어 동사 ‘닿-(接), 찧-(搗), 싣-(載), 걷-(步)’과 ‘좋-(好)이 ‘-고, -지, -어서’와 통합할 때에 실현되는 전북방언 활용형의 분석에서 음소로서의 존재가 인정된다. 두 부류의 활용 중 앞의 것은 ‘[닥꼬/꾸, 닫찌, 다아서],[찍꼬/꾸, 찍찌, 찌어서], [실꼬/꾸, 실:찌, 시러서], [걸:꼬/꾸, 걸:찌, 거러서]’이고 뒤의 것은 ‘[조:코/쿠, 조:치, 조아서]’이다.
한편, 변이음의 경우, 전북의 모든 하위방언에서 ‘ㅁ(m)’과 ‘ㄴ(n)’은 고모음 ‘우’나 ‘위’와 통합할 때에 각각 양순파열과 치조파열을 수반하는 변이음 [bm]와 [dn]로 실현되며 (예. 무시[bmuɕi](무,菁), 뉘어[dnüə](누에)), ‘ㅅ(s)’과 ‘ㅆ(sʼ)'은 ‘이, 위’ 앞에서 구개음 ‘[ɕ]/[ʃ]’와 ‘[ɕʼ]/[ʃʼ]’로 실현된다. (예. 씬나락[ɕʼinnarak(벼종자), 쉬[ʃü](쉬,蠅卵)). 그런데 〈무주, 임실, 남원〉 방언에서는 ‘에’와 ‘애’ 앞에서도 ‘ㅅ(s)’과 ‘ㅆ(s)’은 구개음으로 실현된다. (예. 셰:살[ɕe:sal](세살,三歲), 섁깔[ɕɛkʼal](색깔,色)).

참고문헌
◈참고문헌◈
․전북방언 연구 : 최명옥, 김옥화 고려대학교 학위논문
․국어음운학 : 허웅 지음, 샘문화사
․국어방언연구 : 최학근 저, 명문당
하고 싶은 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