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

 1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1
 2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2
 3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3
 4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4
 5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5
 6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6
 7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7
 8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8
 9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9
 10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10
 11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11
 12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12
 13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13
 14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14
 15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15
 16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16
 17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증의학] 통증의 기전과 인체에 발현되는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Ⅰ.정의

Ⅱ.통증기전의 여러 학설
1.특이설
2.유형설
3.관문 조절설
4.통증 조절기전

Ⅲ.통증의 분류와 임상양상
1.체성 감각의 분류
2.통각의 분류
3.통각의 전도속도/성질
4.통증의 전달경로
5.표재통
6.심부조직으로 부터의 통증(Pain from Deep Tissues)
7.내장통
8.연관통(Referred Pain)
9.방사통 (Radicular Pain)

Ⅳ.신경계 구조물별 통증 양상

Ⅴ.근골격계 구조물별 통증 양상

Ⅵ.실생활의 통증
1.요통
2.신경통
3.관절통
4.두통
5.근육통
6.환지통
7.분만통
8.생리통

Ⅶ. 물리치료적 접근
1.신경계 물리치료
2.정형계 물리치료
3.심호흡계 물리치료
4.소아물리치료
5.산부인과 물리치료
6.노인 물리치료
7.테이핑 물리치료
8.수중물리치료
9.스포츠 물리치료

Ⅷ. 참조


본문내용
Ⅰ.정의
통증은 다양한 심리적 결과를 가진 공통적 경험이기 때문에 통증에 대해서는 많은 정의가 있다. Webester's New Collegiate Dictionary는 통증을 ‘질병 또는 손상과 같은 신체의 장애와 관련된 육체의 국소적 고통’이라고 정의한다. 임상적인 목적에서 Fidlds(1987)는 통증을 ‘신체의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지각되는 그리고 신체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손상시킬 수 있는 과정에 의해 공통적으로 발생되는 불쾌한 감각’이라고 정의한다. 통증을 기분(mood)(예, 슬픔) 또는 배고픔이나 따뜻함과 같은 신체적 감정과 구별하기 위하여 신체의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지각된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때 기분과 신체적 감정은 신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느껴지긴 하지만 반드시 특정 신체 부위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느껴지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증에 관한 정의는 국제통증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의 용어에 관한 첫 소위원회에서 결정되었는데, 그 정의는 다음과 같다.:“실제적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과 연관된 또는 그러한 손상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불쾌한 감각적 그리고 정서적 경험”이 그것이다. 이 정의의 한가지 중요한 측면은 동통이 인간의 경험으로 정의 되며 이 정의는 동통을 자극과 관련시키는 것을 피한다는 것이다. 동시에 이것은 동통을 야기하는 자극이, 특히 그러한 자극이 지속적이라면, 조직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생물학적인 사실을 고려한다. 따라서 동통은 우리가 실제적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과 정상적으로 관련시키는 경험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통증은 조직손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경고 신호이다. Sherrington은 손상된 조직을 해롭게 할 수 있는 자극에서 벗어나게하는 보호반사의 심인성 보조물로 통증을 정의 했다.

참고문헌

Ⅷ. 참조

1. 김종만, 물리. 작업 치료사를 위한 신경해부생리학
2. 하인호, 통증의 치료방침, 군자출판사
3. 임상 전기생리학, 대구대학교 출판부
4. 대한통증의학회, 통증의학, 군자출판사
5. Patrick D. Wall & Mervyn Jones, 박찬욱 역(1995) Defeating Pain:the war against a silent epidemic
6. psychoeun. 통증의 과학. http://mybox.happycampus.com/psychoeun
하고 싶은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