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

 1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1
 2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2
 3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3
 4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4
 5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5
 6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6
 7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7
 8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8
 9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9
 10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10
 11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11
 12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공학계열
  • 2005.01.06
  • 12페이지 / hwp
  • 2,400원
  • 72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부산항][부산항만]부산항(부산항만)의 현황,신항사업,건설계획, 부산항(부산항만)의 관세자유지역,방재정보시스템,문제점,내실화방안
  • 동북아시아중심국가(동북아중심국가)를 위한 외교 전략, 동북아시아중심국가(동북아중심국가)를 위한 전자정부 전략, 동북아시아중심국가(동북아중심국가)를 위한 기업 전략, 동북아시아중심국가를 위한 산업 전략
  • 국제운송의 과제와 대응방안 한반도종단철도 TKR 와 시베리아횡단철도 TSR 의 연결
  • 동북아 경제협력과 역내 자유무역
  • 동북아(동북아시아)의 세력균형론, 네트워크화, 동북아(동북아시아)의 경제통합, 동북아(동북아시아)의 한류, 동북아(동북아시아)의 주한미군, 동북아(동북아시아)의 식량수급, 동북아(동북아시아)의 KOSCO 분석
  • [지역개발] 동북아지역 도시네트워크화와 항만도시 부산의 대응전략
  • [A+레포트]국내외 크루즈 관광 현황과 사례분석 및 시사점
  • [동북아]동북아경제중심국가(동북아시아경제중심국가)의 의의, 목적, 동북아경제중심국가(동북아시아경제중심국가)를 위한 관광개발, 입지결정, 동북아경제중심국가(동북아시아경제중심국가)를 위한 고려사항 분석
  • 사막의 오아시스 두바이
  • 부산항 허브화 방안 허브항 정의 부산항 현황 상하이항 현황 부산항 상하이항
  • 소개글
    [졸업] 동북아 경제협력과 부산경제의 역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 론

    Ⅱ. 본 론
    1. 동북아 경제협력의현황과 전망
    2. 동북아 경제발전과 협력에서의 도시경제의 역할
    3. 동북아 도시간 연계전망
    4. 부산경제의 위상
    5. 부산경제의 역할

    Ⅲ. 결론
    1. 부산경제의 과제
    2. 시사점 및 한계점
    본문내용
    Ⅰ.서 론

    지난 80년대 후반 이후부산의 국내, 국제적 위상은 추락해 왔다. 올1/4분기 부산지역 제조업 생산은 작년 동기보다 오히려 10.8%나 줄어 전국 지방이 평균 13.1%증가와 대조를 보였다. 설비투자실행지수도 100을 기준으로 할 때 부산지역은 90으로 전국지방 평균 94를 밑돌았다. 어음부도율은 0.2%로 전국지방 평균 0.14%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산지역 실업률 역시 4.6%로

    전국 지방 평균 3.5%를 넘어서 전국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청년실업률은 10.3%로 전국지방 평균 8.4%를 크게 웃돌고 있다. 8월까지 전국 16개 광역시·도 중 정부기관을 통한 부산의 외자유치 실적은 전체 15위, 금액으로는 200만 달러에 불과하였다.
    2003(3/4)
    2003(4/4)
    2004(1/4)
    2004(2/4)
    -5.7
    -3.5
    -10.8
    -9.8
    부산지역 제조업 생산분기별 증감률
    참조: 한국은행 부산본부
    최근의 부산시가 기관을 통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추진한 외자유치실적은 부산경제의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내 주는 단적인 예이다. 그 1차적 원인이 부산경제 구조조정의 실패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지만, 좀 더 근본적인 이유는 미래의 변화를 미리 감지하고 대응책을 제 때에 마련하지 못한 부산지역의 문화, 제도적 기반의 취약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부산이 지금의 위상을 그나마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 것은 항만이라는 입지자산과 주변국, 특히 중국의 빠른 경제 성장에 기인한 해운물동량의 증가에 힘입은 바가 크다. 현재 부산경제의 장기비전으로서 논의되고 있는 항만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교역과 물류의 중심지는 가장 적실하고 실현가능성이 높은 전략적 목표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는 99년 컨테이너 물동량처리 세계4위라는 경과에 자족하는 소극적 인식이 아니라 심화되고 있는 아시아 항만간의 경쟁에 따른 부산항의 위상변화, 더 넓게는 동북아지역경제의 재구성에 따른 부산경제의 역할변화에 대한 사전 분석과 대응전량을 수립해 나가는 적극적 인식을 갖추어야만 한다. 본 논문은 서적 자료와 교수님 면담 및 인터넷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 되어 졌으며 논문의 목적은 부산경제의 가능한 미래를 열어가기 위한 노력의 일단으로서 우선 동북아 경제협력의 커다란 흐름을 짚어보고 동북아의 주요 성장견인지역과 도시경제의 역할을 규명해본 뒤, 동북아지역경제에서 부산경제의 위상과 역할을 천착해보고 그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부산이 추진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원배(1996) 동북아 산업협력과 지역개발 전략 구상, 국토연구원.
    최수웅(1994) 중국의 지역정책과 지역경제 발전전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제 1차 지역혁신발전 5개년 계획(안)(2004~2008), 부산광역시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개발계획,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Kim, Won Bae(2000) "Economic growth, restructuring, and territorial impact wi고 a focus on the 1997 financial crisis,“ OECD-KOREA Workshop on territorial Policies and Issues, March 8~9,Seoul.
    Tsumori, Takayuki(2000), "Inter-port competition and linkages in Asia ," Inter-city Networking Strategy in the YSSR Workshop, April 5~8 Fukuoka/Kitakushu.
    http : //www.portbusan.or.kr/
    http : //www.kca.or.kr/
    http : //www.ns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