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

 1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1
 2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2
 3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3
 4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4
 5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5
 6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6
 7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7
 8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8
 9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9
 10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10
 11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11
 12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12
 13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13
 14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14
 15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15
 16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16
 17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17
 18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18
 19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19
 20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긍정적 학습 환경 조성-자기결정이론과 목표지향이론을 기반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방법
3. 연구의 한계점

II. 본론

1. 학습 환경의 정의

2. 긍정적 학습 환경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1)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1)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2) 기본 심리적 욕구(Basic Psychological Needs)
(3) 자기결정이론의 영향

2) 목표지향이론(Goal Orientation Theory)
(1) 목표지향이론(Goal Orientation Theory)
(2) 목표지향에 따른 영향

3. 긍정적인 학습 환경 조성하기
1) 규칙 정하기
2) 목표설정
3) 학습 분위기 조성
4) 유관 계약(Making a Contingency Contract)
5) 교사가 피해야할 행동들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 사회는 전통적으로 높은 교육열을 자랑한다. 부모님들은 자녀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 더 좋은 학교, 더 많은 공부를 원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놓치고 있다. 교육의 성과 및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학습 환경이 마련되어야한다. 아무리 잘 준비된 교사가 있고, 성실한 학생이 있고, 훌륭한 교재를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학습 환경에 따라서 교육의 결과는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학습 조건 중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학습 환경으로 우리는 학습자가 속한 가정, 학교, 사회 전반적인 요소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이는 학습자가 이 모든 곳에 소속되어 학습경험을 형성하기 때문이다(김지혜, 2009). 이렇게 가정, 학교, 사회 전반의 학습 환경으로부터 우리는 자유로울 수 없으며, 이에 영향을 크게 받기 마련이다.
B.Bloom(정원식, 1975에서 재인용)은 환경이 인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환경은 인간 특성에 일어나는 변화의 범위와 종류를 결정해주는 요인으로, 학교 학습을 강화시키거나 증진시키며, 그 환경에 접하고 있는 모든 개인을 동등하게 변화시키는 경우가 있다고 말한다. 인간은 타고난 유전적 조건과 그에게 주어지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성장하고 발달하므로, 인간형성 과정에서 환경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히 중요하며 크다고 볼 수 있다. 정원식(1994)은 교육은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환경의 구성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작용하는 모든 힘은 결국 환경적인 조건이라 할 수 있다. 학교의 물리적 환경 뿐 아니라 심리적 환경도 학습 환경의 조건이 된다. 구체적으로 학습 환경이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연구에 대해 살펴보면, Walberg(1986)는 학습 환경 중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미술 학습 자료와 내용, 시설환경 등으로부터 인지되는 사회 심리적 학급풍토나 분위기 등이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상호작용하여 행동변화에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또, 교사가 형성하는 심리적 학습 환경은 학생들의 학업 수행 및 학습 결과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학습 환경과 경험에 의해 자아개념이 형성되어진다고 본다(김지혜, 2009).
이렇게 학습 환경은 인간에게 상당히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습 환경은 물리적 상태나 상황을 의미하는 물리적 학습 환경, 학급 내의 교육적 분위기,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부모와 학생과의 관계와 지도 방법, 그 외의 외부적인 심리적 영향력 등을 의미하는 심리적 학습 환경이 있는데, 한 개인의 심리적 상태는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물리적 학습 환경보다도 심리적 학습 환경이 학생의 학습에 더욱 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장상호, 1997). 그러나 학습 환경, 그 중에서도 심리적 학습 환경은 학생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그에 대한 연구가 소홀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도 높지 않다.
참고문헌
기진서(2004). 도서지역 교육환경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아영(2010). 자기결정성이론과 현장 적용 연구. 교육심리연구, 24(3), 583-609.
김주환, 김은주, 홍세희 (2006).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1), 243- 264.
김지혜(2009). 미술교육환경과 미술교과의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학습흥미간의 상관분석에 관한 연구 : 4-6학년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문은식(2002).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교의 심리적 환경과 목표지향성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6(4), 5-21.
방희정(2005). 미술과의 심리적 교육환경이 자기효능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6학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안도희, 박귀화, 정재우(2008). 자율성 지지, 기본적 욕구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5(5), 315-338.
이명희(2008).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민희(2007). 학습장면에서 자기결정론의 동기화 경로 모형검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장상호(1997). 교육의 재개념화에 따른 10가지 새로운 탐구영역. 교육원리연구, 2, 111-212.
정교영(2011). 자기결정이론을 근거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아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정원식 외 2인 공저.(1994). 교육심리학. 서울:교육출판사. 125.
정원식(1975). 교육환경론. 서울:서울출판사. 33-37.
주동식(2009). 학생 · 교사의 목표지향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의 관계.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병연(2002).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이론의 교육적 적용. 교육문제연구, 16, 165-184.
한소영(2010).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상담성과: 자기결정이론의 치료적 적용, 아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Ames, C. (1992).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J. Educ. Psychol, 261-271.
Ames, C. & Archer, J. (1988).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260-267.
Anderman, E. M., Maehr, M. L., & Midgley, C. (1999). Declining motivation after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Schools can make a difference. J. Res. Dev. Educ, 1–14.
Anderman, E. M., & Midgley, C. (2002). Methods for studying goals, goal structures, and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In C. Midgley & Mahwah (Ed.), Goals, Goal Structures, and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pp. 1-53). NJ: Erlbaum.
Anderson, L. & Krathwohl, D. A. (2001)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ew York: Longman
Bloom, B. S., Engelhart, M. D., Furst, E. J., Hill, W. H., & Krathwohl, D. R.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I: Cognitive Domain New York, Longmans, Green
Bhurijana, D. (1995). The Art of Teaching: A guide for training our children in Krsna consciousness, Vrindavana Institute for Higher education. 77.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 227-268.
Deci, E. L., & Ryan, R. M. (2002).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Dweck, C. S. & Leggett, E. L. (1988).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95, 256-273.
Haggis, D. (2011). Teacher Perceptions of What they do in their institutionalized settings to create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troubled youth in their classrooms, College of education, Nursing, and Health Professions at the University of Hartford, West Hartford
Kaplan, A., Gheen, M., & Midgley, C. (2002a).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student disruptive behaviour. Br. J. Educ. Psychol. 191–212.
Kaplan, A. et al. (2002b). Achievement goals and goal structures. In Goals, Goal Structures, and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ed. C. Midgley, 21-55. Hillsdale, NJ: Erlbaum
John, M. B., Timothy, C. C. (2005). Using student norms to create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s, About Campus, 9 (6), 2-7.
Joye, F., Deschryver, N., & Peraya, D. (2002). Learn-Nett: A collaborative environment for teacher training. In F. Fluckiger, C. Jutz, P. Scholtz & L. Cantoni (Ed.),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w Educational Environments (poster 12)
Judith, L. M., Eric, M. A., & Lynley, H. A. (2006). Classroom Goal structure, stud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nu. Rev. Psychol, 487-503.
Keith, J. T. (2005). Trends in Peer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y Vol 25. No. 6, December 2005, University of Dundee, Scotland, 631-645.
Lizzio, A., Wilson, K. & Simons, R. (2002).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outcomes :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Studies in Higher Education, 27, 27-52.
Mark, G. (2011).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ith mastery goal versus performance goal. Western oregon university, Monmouth OR, 15.
Melissa A. M., Catharine H. W., (2011).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Mental Health of First Grade Childre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University of Maryland, 3-5.
Midgley, C. (2002). Goals, Goal Structures, and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Hillsdale, N J: Erlbaum
Midgley, C., Maehr, M. (1999). Using motivation theory to guide school reform. In Promoting Positive Outcomes: Issues in Children’s and Families’ Lives, ed. A. J. Reynolds, H. J. Walberg, R. P. Weissberg, 129–159. Washington, DC: Child Welfare League Am.
Midgley et al. (1997).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Survey (PALS). AnnArbor: Univ. Mich. Press
Murray, C. (2002). Supportiv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romoting the Social and Emotion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