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

 1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1
 2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2
 3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3
 4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4
 5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5
 6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6
 7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7
 8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8
 9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9
 10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10
 11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11
 12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12
 13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13
 14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14
 15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15
 16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16
 17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17
 18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18
 19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19
 20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4학년 1학기 사회, 도덕, 국어과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이해중심 교육과정 배경이론

Ⅱ 백워드 설계의 절차

Ⅲ 전통적 설계
1.사회
2.도덕
3.국어

Ⅳ 백워드 설계에 의한 수업 계획의 실제
1. 성취기준 Unpacking
2. 간학문적 개념을 중심으로 한 수평적 Scan & Cluster
3. 지식의 삼각형
4. 통합단원 설계를 위한 KDB 우산 만들기
5. ‘WHERE TO 틀’에 의한 최종 수업 계획서
본문내용
Ⅰ 이해중심 교육과정 배경이론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와 어떤 평가의 증거를 수집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그런 다음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를 강조하는 데, 특히 학생의 이해를 가르치는 방식을 강조한다. 이해 중심 교육과정은 교과를 구성하는 핵심 지식, 기능, 영속적인 이해를 드러내고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교육과정 설계 모형이다.
그런데 미국이든 한국이든 내용 과다의 문제를 안고 있다. 내용 과다의 문제는 교사가 끊임없이 무슨 내용을 강조하고 무슨 내용은 가르치지 않아도 되는지 선택을 요구한다. 내용 기준의 상세화는 이 문제를 악화시켰다.
내용 과다와 함께 내용 기준은 이해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진술되어 있다. 너무 방대해서 명료화가 되지 않거나, 너무 구체적이어서 임의적이기까지 하다.
또한 교과서 개발자들은 가능한 많은 지식을 피상적으로 교과서에 담게 되고, 결과적으로 교과서는 정보의 과다라는 문제를 불러일으키는 한 요인이 된다.
이해중심 교육과정 제안자는 기대하는 학습 결과는 반드시 내용 기준에 담기는 빅 아이디어와 핵심 기능의 차원에서 결정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 아이디어는 핵심 질문이라는 다소 도발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초점을 이룬다. 구체적인 사실, 개념, 기능은 더 큰 아이디어와 핵심 기능을 탐구하고 적용하는 맥락 속에서 가르칠 수 있다. 이것은 전이 가능성이라는 관점에서 포용된다.
전이 가능성이 높은 빅 아이디어와 핵심 질문은 기준에 진술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적 렌즈를 제공한다. 그렇게 되면 좀 더 구체적인 사실과 기능을 더 큰 아이디어와 질문의 맥락 속에서 가르칠 수 있다. 이 접근은 많은 양의 내용 지식을 처리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동시에 의미 있는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
교사가 교과서의 기저에 놓인 큰 개념, 일반화 등을 통해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들을 연결하거나, 계열화하거나, 학생들이 오개념을 가졌을 때 또는 탐구심을 가지고 발문을 하는 경우에 이를 교수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과의 개념체계가 필요하다. 만일 학생들의 오개념을 파악할 수 있는 참조의 틀이 되는 개념체계가 없고, 학생들의 탐구심의 발로가 되는 질문들을 학생들 스스로 탐구할 수 있는 교수기회로 만들 때 필요한 개념체계가 없다면, 교사는 특별히 훈련을 받지 않는 한, 이를 교수기회로 만들기가 어렵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단원을 이해중심 교육과정 모형을 적용하여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념체계 중심으로 탐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나선형 교육과정에 따른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틀을 따르는 것이 하나의 접근이 될 것이다. 교과의 핵심개념, 일반화, 사고기능/과정적 지식을 찾고, 이에 도달할 수 있는 핵심질문을 탐색한 다음, 이를 교과, 학년군별, 학년별, 학기별 교과로 그리고 단원에 이르기까지 나선형으로 내려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국가수준에서 이러한 접근을 하고 있지 않다면, 거꾸로 교과서의 사실적 지식과 활동을 통해 기저에 놓인 핵심개념과 일반화를 찾아들어가는 ‘교육과정 풀기’를 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