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

 1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1
 2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2
 3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3
 4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4
 5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5
 6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6
 7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7
 8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8
 9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9
 10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10
 11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11
 12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12
 13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13
 14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14
 15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15
 16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16
 17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17
 18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18
 19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19
 20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역사 교육내용의 구성요소
1. 역사 지식
2. 역사적 사고
3. 역사적 태도
Ⅲ. 역사 교육내용의 선정
1. 역사 교육내용 선정의 원리
(1) 학문적 측면의 원리
(2) 학습자 측면의 원리
(3) 사회적 측면의 원리
2. 역사 교육내용의 선정 기준
3. 역사 교육내용 선정 기준에 관한 논의
Ⅳ. 역사 교육내용의 조직
1. 역사 교육내용 조직의 원리
(1) 내용 조직의 계열화
(2) 교과 내용 체계에 따른 내용 조직
(3)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따른 내용 조직
2. 역사 교육내용의 조직 단계
(1) 교육과정의 내용 조직
(2) 교과서의 내용 조직
(3) 수업의 내용 조직
3. 역사 교육내용의 조직 방법
(1) 연대기적 방법
(2) 주제중심 방법
(3) 발전 계열법
(4) 시대사 방법
(5) 분야사 방법
(6) 문화권 방법
4. 역사 교육내용 조직에 관한 논의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것은 교육과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학생들에게 가르칠 내용 그 자체에 관련된 사항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교사는 교육내용에 따라 교수학습 자료를 준비하고 교수방법을 선택하며, 또한 수업전략과 구체적인 학습 과정 역시 교육내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역사교육에서도 마찬가지로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것이 교육과정 설계에서 핵심적인 단계에 위치하고 있다.
흔히 역사교육에서 다루는 내용은 과거의 사실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역사학이라는 모 학문에서 나온 역사교육은 역사학에서 추출된 지식과 사고까지 포함한 것을 교육내용에 담고 있다. 따라서 과거 사실만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의 이해에 기초하여 역사를 해석하고 인식하는 과정까지 역사교육에서 다루는 내용에 포함하는 것이다. 즉 역사교육에서는 과거 사실에 대한 기록과 서술, 이야기, 그리고 과거 사실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는 방법 모두 가르쳐야할 교육내용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나 역사는 인간 경험의 총체로, 그 자체만으로도 그 내용이 매우 방대하기 때문에 학교의 한정된 교육과정으로서 역사의 전부를 가르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어떤 것이 교육내용으로서 가치 있는지를 선택하고, 그것이 학습자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역사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이 교육과정 설계의 핵심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인 것이다.
따라서 본고를 통해서 우선 역사 교육내용의 구성요소를 살펴본 다음, 두 번째로 어떤 원리와 기준으로 역사 교육내용이 선정되는지와 함께, 기준을 설정하는 데 있어 이루어졌던 논의들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교육내용이 어떤 원리와 단계, 방법으로 조직되는지와 함께, 계열화에 관한 논의를 살펴볼 것이다.


Ⅱ. 역사 교육내용의 구성요소

역사교육에서 내용이란 역사과에서 다룰 내용, 교사의 시각에서는 가르칠 내용, 학생의 시각에서는 학습할 내용을 말한다. 교육과정 이론에서는 일반적으로 내용 요소를 학습의 인지적, 정의적, 심리적 측면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한국의 역사교육 개설서들은 대체로 인지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내용 요소를 제시했다. 정선영은 ‘구체적 사실’, ‘개념’, ‘일반화’, ‘탐구방법’으로 구분하고, 여기에 ‘시대적・사회적 요구와 관련된 내용’을 첨가하여 정의했다. 이영효의 구분에 따르면, 역사 교과의 내용을 구성하는 요소에는 명제적 지식에 해당하는 ‘역사 지식’, 방법적 지식에 해당하는 ‘역사적 사고’, 그리고 정의적 측면에 해당하는 ‘역사적 태도’가 있다. 여기서 무엇보다 과거 사실에 대한 지식 즉, 역사 지식은 역사 이해의 출발점이자 역사 교육내용의 기본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역사에 관한 지식이나 개념의 이해가 바람직한 역사적 사고와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때 비로소 의의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강선주, 2010, 「역사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연구의 현황 및 문제」, 『歷史敎育』 113
김한종, 2007, 「역사교육 내용조직 원리와 유형」, 『역사수업의 원리』, 책과함께
김한종, 2006, 「국사교육의 내용구성 원리」,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김한종, 2006, 「중·고등학교 국사교육의 내용선정」,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김한종, 2005, 「역사교육 계열화를 위한 고등학교 국사교육 내용구성 방안」, 『湖西史學』 40
방지원, 2006, 「역사교육 계열화의 개념과 원리」, 󰡔역사교육연구󰡕 3
방지원, 2006, 「초・중등학교 역사 교육과정의 계열화 분석」, 󰡔湖西史學󰡕 44
양호환 외, 2009,「역사적 사고」,『역사교육의 이론』, 책과함께
이병희, 2001, 「중·고등학교 국사교육 편제와 내용의 계열화」,『21세기 국사교육의 새로운 모색』, 한국사론 31, 국사편찬위원회
이영효, 2007,「역사교육의 내용」,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함께
정선영 외, 2001, 󰡔역사교육의 이해󰡕, 三知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