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

 1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1
 2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2
 3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3
 4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4
 5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5
 6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6
 7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7
 8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8
 9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9
 10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10
 11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11
 12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12
 13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13
 14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14
 15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15
 16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16
 17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17
 18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18
 19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19
 20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규보의 생애와 문학 비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규보를 만나다
가. 별이 뜨고 별이 지기까지
나. 혼란의 시대와 문학
다. 이규보의 생각을 읽다

2. 이규보의 문학-시
가. 이규보 문학론
나. 이규보 시의 형식
다. 이규보의 시세계
라. 청년 이규보의 시
마. 역사를 노래하다 - 「동명왕편」
바. 계양에서의 이규보
사. 강화에서의 이규보

3. 이규보의 문학-산문문학, 비평
가. 전(傳)
나. 설(說)
다. 이규보의 비평적 면모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발제문 정리

본문내용
Ⅰ. 서론

이규보(李奎報, 1168~1241)는 고려 의종 24년(1170) 문신에게 반기를 든 무신들에 의해 일어난 무신난으로 인해 무인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면서 문벌 귀족의 해체, 지방의 중소지주 계층의 부상, 민중의 역량과 의식의 성장 등 고려 전기와는 다른 변혁의 양상을 보였던 시대를 살아갔던 문인 중 하나이다. 이 기간은 계속되는 문신의 숙청과 지방에서의 빈번한 농민 봉기, 그리고 몽고의 침입에 이르는 암흑의 시대였다.
하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 문인들의 갈등과 고민이 응축되어 탄생한 새로운 문학적 성과를 이룩한 시기이기도 하였다. 문학 담당층의 성격이 변모되어 고려 전기의 귀족적인 문학, 사장풍(詞章風) 중심의 문학 현상에 대한 비판과 사회의 현상을 사실적으로 반영하려는 독특한 문학 풍토가 조성되었다. 특히, 이규보는 이러한 고려 중기의 문학적 전환을 담당한 대표적인 인물로 부각되고 있다. 이것은 이규보가 단순히 무신집권기에 활약한 인물이고, 동시대의 다른 작가에 비해 방대한 분량의 문집을 남겼다는 외적 사실에만 기인한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격동기의 시대 상황에서 보여준 현실 인식이나 그것이 표출된 시문의 성격과 가치, 문학 활동의 근간이 된 문학이론의 체계적 수립 등의 큰 요인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대의 다른 작가들과 다르게 문학에 대한 독특한 인식과 작품의 성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될 만하다.
이규보가 평생을 시를 지어 현재 남아있는 시만 2088수 가량 되는데 이런 많은 작품들이 그가 살아왔던 당시 시대의 모습이나 생애와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임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규보의 문학작품들을 알아보기 전에, 우선적으로 그의 생애와 그 당시 시대적․문화적 배경, 작품 창작의 배경이 되는 사상과 문학이론 등을 살펴보면서 이규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Ⅱ. 본론

1. 이규보를 만나다

가. 별이 뜨고 별이 지기까지

1) 이규보의 삶
동방 최고의 시인이요 문인이며 정치가인 이규보는 1168년(고려 의종22년) 12월 16일 호부낭중을 지낸 이윤수와 김중권의 딸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자는 춘경(春卿), 처음의 이름은 인저(仁低이)고 본관은 황려(黃驢, 지금의 여주)이다. 이규보가 세상에 태어난 지 석 달이 되었을 때 얼굴에 부스럼이 온통 번졌는데, 약을 써도 낳질 않고 보기에도 끔찍하여 문밖에다 내다둔 적이 있었다. 지나가던 한 신인(神人)이 “이 아이는 천만금보다 귀한 아기인데 왜 이렇게 내버려 두느냐, 잘 보호해야 한다.”고 하였다.
갓난아기 때 이규보의 얼굴이 천연두로 뒤범벅이 된 것처럼 당시의 사회는 살육의 피로 점철되던 시기였다. 나라의 기반이 쇠약해지고, 각처에서 반란이 일어났으며 외적의 침입이 잦아졌다. 사치와 환락을 누리던 문신들은 무신들을 천대하고 멸시하며 마치 노예를 부리듯 했는데, 결국 정중부(鄭仲夫)의 난으로 무신들의 시대가 시작 되었다.
정중부가 집권하여 최대의 권세를 누리던 때, 11살의 어린 이규보는 신동(神童)이라 불리었다. 9세에 이미 속문(屬文)을 할 수 있게 된 이규보는 시를 좋아하는 성랑(省郞)들 앞에서 시를 지어보인다.

참고문헌
강사희, 「白雲小說에 나타난 李奎報의 時論 및 批評意識」, 연구논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78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1
김경수, 「동명왕편」에 대하여」, 단국대동양학연구소, 1991, 100면
김상훈ㆍ류희정, 『동명왕의 노래』(겨레고전문학선집 5), 보리문학사, 2005,
김영, 「이규보의 인천관련 시문과 처세관」, 『한국한문학연구 23집』, 1999
김진수, 「李奎報의 散文文學 연구 : 箴銘·說·記·傳을 中心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1
김진영, 「백운소설연구」, 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76, p.78
김진영·차충환 역주, 『백운거사 이규보시집』, 민속원, 1997
문광철,「李奎報의 설을 통한 고전산문교육연구」,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민족문학사연구소, 『새민족문학사 강좌 01』, 창작과비평, 2009
박종기, 「동국이상국집에 나타난 고려시대상과 이규보」, 󰡔진단학보󰡕 83호, 1997
박창희, 「이규보의 동명왕편 시」(『역사교육』 11, 12 합집), 1997
박흥수, 「이규보의 문학사상」, 1998
배상우, 이규보의 구관시연구,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서정화, 「李奎報 散文硏究」,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신용호, 「이규보의 「 동명왕편 」 연구」, 안암어문학회, 1980
, 『이규보의 의식세계와 문학연구론』(고전문학연구 4), 국학자료원, 1990
, 「의 형식에 대한 일고찰」, 대동한문학회, 2001,
여운필, 「이규보 시 연구」,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1983
윤인현, 「백운(白雲) 이규보(李奎報) 문학(文學)에 있어서의 계양(桂陽)」, 한국한문학회, 2012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祖江賦」, 권1
, 전집9
, 전집9
, 전집10
, 『봄 술이나 한 잔 하세 : 이규보 산문선』, 태학사, 2009,
이동철, 『이규보․임재 시의 연구』, 형설출판사, 1994
, 『백운 이규보 시의 연구』, 국학자료원, 고전문학연구 2집, 199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제4판, 지식산업사, 2005
전형대, 『이규보의 삶과 문학』, 홍성사, 1983
정인모, 「白雲小說에 나타난 李奎報의 創作意識과 批評觀」,금구논총, 동국전문대학, 2001,
채수아, 「이규보 ‘설’의 교육방안 연구」,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최정숙, 「이규보 산문 연구 = A Study on Lee Kyu-bo's prose」,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0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77
탁봉심, 「동명왕편」에 나타난 이규보의 역사의식, 한국사연구회, 1984,
하강진, 『이규보의 문학이론과 작품세계』, 세종출판사, 2001,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
홍성암, 「이규보 「동명왕편」의 서사시적 성격과 고구려의 정체성」, 한민족문화학회,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