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

 1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1
 2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2
 3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3
 4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4
 5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5
 6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6
 7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7
 8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8
 9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9
 10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10
 11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11
 12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12
 13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13
 14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14
 15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15
 16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16
 17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17
 18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18
 19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19
 20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양과목) 인간과과학 요약정리, 행심요약총정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 1 장 과학이란 무엇인가
- 앎의 틀로서의 과학

■ 인간은 어떤 사물을 볼 때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어떤 사고의 틀에 맞추어 이해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 인간의 어떤 사고의 틀에 맞추어 이해하는 성향은 IQ의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통해 단순한 ‘사실’이 아닌 ‘질서’를 파악하게 된다.
■ 사람이 일상적 앎을 얻게 되는 과정 : 관찰 → 가설설정 → 검증 → 학습의 과정을 거쳐서 사람을 일상적 앎을 얻게 된다.
■ 과학적 앎 - 우리의 일상적 앎과 그 기본구조는 유사하지만, 의식적‧집합적 노력에 의해 일상적 앎이 지닐 수 있는 한계를 크게 뛰어넘은 새로운 앎이 과학적 앎이다.


1.1 일상적 앎의 한계를 넘는 새로운 앎


■ 일상적 앎과 과학적 앎의 비교 ★
① 정밀에서의 비교 : 빠르면 얼마나 빠른 것을 말하며, 느리면 얼마나 느린 것을 말하는가에 대한 구분 가능성을 의미한다.
㉠ 일상적 앎 : '아주' 빠르다, '약간' 빠르다 정도의 개략적 구분만을 한다.
㉡ 과학적 앎 : 어떠한 미세한 차이라도 구분할 수 있는 무제한의 구분 가능성을 허용한다.
② 신뢰성에서의 비교 : 실제 현상과 얼마나 부합되는가에 대한 것이다.
㉠ 일상적 앎 : 몇 개의 사례가 나타나면 이를 일반화하여 받아들인다.
㉡ 과학적 앎 : 실험적 검증절차를 거쳐서 앎에 대한 신뢰성을 크게 높이게 된다.
■ 기존의 틀 속에서 대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앎의 틀이 먼저 마련되어야 한다.
■ 과학에서 우리가 추구하는 앎은 기존의 것보다 더 정밀하고, 더 확실하며,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통합적인 앎이다.


1.2 앎의 틀과 내용


■ 앎의 기본구조 : 내용, 틀로 구성
① 틀 : 내용을 담는 그릇에 해당한다.
② 내용 : 틀 안에 담기는 것으로 정보라 불리기도 한다.
■ 일상적 앎과 과학적 앎
① 일상적 앎 : 일상적으로 공유된 틀을 바탕으로 정보의 출입에 주된 관심을 가지게 되는 지식이다.★
② 과학적 앎 : 체계적으로 향상시킨 틀, 그 안에 담기는 정보의 총칭이다.
■ 일상적 앎의 사고의 틀은 우리의 무의식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① 무의식 속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별다른 어려움이나 고통을 느끼지 않는다.
② 우리의 무의식 속에 형성된 틀이 부적절할 경우 적절한 수정이 어려워진다.
■ 일상적 앎에서의 깨달음 : 우리가 가지고 있는 틀로 사물을 인식하지 못할 때, 본능적으로 새로운 틀을 만들어 새로운 시각으로 사물을 인식하는 것을 ‘깨달음’이라 말한다.
■ 과학에서는 무의식 속에서 틀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의식적인 노력에 의해 틀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키게 되며, 과학이라 함은 앎의 내용뿐 아니라 앎의 틀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키는 노력에 해당한다. ★
① 과학을 학습할 때는 노력에 의해 두뇌활동을 하기 때문에 상당한 고통을 수반하게 된다.
② 특히 자신의 무의식 속의 틀이, 요구되는 새로운 틀과 상충되는 경우 자신의 사고는 기존 틀로 이루어지는 데 비해 학습은 새로운 틀로 하기를 강요하기 때문에 고통이 뒤따르게 된다.
■ 과학 학습에서의 유의점 : 자기가 가진 무의식 속의 틀과 요구되는 새 틀을 함께 의식의 차원으로 끌어 올려 그것들 중 하나를 분명히 폐기하고, 다른 하나를 그 자리에 놓고 학습해야 한다.


1.3 새 앎의 틀과 자연과학


■ 과학에 활용되는 앎의 틀 : 고전역학,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통계역학, 자연과학
1) 고전역학
① 우리가 일상적으로 지니고 있는 공간과 시간 개념을 좀 더 다듬어 공간을 3차원 변수로 나타내고 시간을 이와 독립된 1차원 변수로 보아 이들의 관계를 통해 운동을 서술한다.
② ‘힘’(상호작용)의 개념을 설정하고(이것은 일상적인 ‘힘’ 개념과 중첩되지만 이와는 분명히 다른 새로운 개념이다. 이 두 ‘힘’의 개념을 혼동하는 것이 고전역학 학습의 큰 장애 요소가 된다), 힘을 받는 대상의 동역학적 ‘상태’(위치 및 속도)가 어떻게 변할 것인가를 말해줄 상태변화의 법칙(뉴턴의 제2법칙)을 도입한다.
③ 앎의 틀을 마련함으로써, 대상이 받는 ‘힘’을 찾아내고, 이를 상태 변화의 법칙에 적용하여 현재의 상태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해 갈 것인가를 말해줄 체계를 형성하게 된다.
(예) 갈릴레이의 낙하법칙, 달이 지구를 도는 이치,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도는 이치 등

2) 상대성이론
① 기존 과학의 '앎의 틀' 가운데 시간과 공간 개념에 심각한 수정을 통해 이루어진 이론이다.
② 시간이 공간과 합하여 4차원 구조를 이룬다.
하고 싶은 말
정말 열심히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좋은 점수 받으실거에요.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