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

 1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1
 2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2
 3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3
 4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4
 5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5
 6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6
 7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7
 8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8
 9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9
 10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10
 11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11
 12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12
 13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13
 14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14
 15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15
 16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16
 17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17
 18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18
 19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19
 20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임상심리] 뇌파 검사와 임상적 활용 - EEG, MEG, ERP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뇌파검사(EEG)
1.1. 뇌파의 정의
1.2. 뇌파 연구의 역사
1.3. 뇌파의 발생기전
1.4. 뇌파의 기본요소
1.5. 뇌파의 종류
1.6. 뇌파 측정 장비
1.7. 뇌파 검사 방법

2. 자기뇌파검사(MEG)
2.1. MEG의 정의 및 특징
2.2. MEG의 측정기술
2.3. MEG의 측정과 해석 및 응용

3. ERP
3.1. ERP의 정의
3.2. ERP의 측정
3.3. ERP의 요소
3.4. ERP의 활용

4. 임상적 활용
4.1. EEG
4.2. MEG
4.3. ERP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뇌파검사(EEG)

1.1. 뇌파의 정의
대뇌피질의 신경 세포군에서 발생한 뇌전기활동의 총화(summation)를 체외로 도출하고, 이를 증폭해서 전위를 종축으로 시간을 횡축으로 해서 두피상(intact scalp)에서 기록한 것이 뇌파이다(김대식, 최장욱, 2001). 두피상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전위변동은 약 1~60Hz의 주파수와 5~300㎶(보통은 20~100㎶)의 전위변동을 나타낸다. 뇌파는 어떠한 질병을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뇌의 기능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뇌파상의 변화를 주는 요인은 개인차, 연령, 의식상태의 변화, 정신활동 및 지각자극, 신체의 생리적 변화, 뇌내 병적 과정 혹은 질환상태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뇌파라 하면 두피 전극에서 포착된 두피뇌파(scalp EEG)를 말하며, 그러나 두피뇌파 외에도 사용하는 전극이나 설치 방법에 따라 뇌피질뇌파, 점형 전극 뇌파, 난원공 전극 뇌파, 심부전극뇌파 등 여러 가지 기록 방법이 있다.
뇌파 electroencephalogram(EEG)는 객관적, 비침습적, 연속적으로 간단하게 대뇌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법이고, 현재 대뇌기능 평가법에서 이 뇌파보다 우수한 검사법은 없다. 최근 눈부신 발달을 보이는 화상 진단학은 중추신경계의 병변부위의 진단에 있어서는 뇌파보다 매우 뛰어난 검사법이지만 대뇌기능을 평가할 수는 없다.

1.2. 뇌파 연구의 역사

1.2.1. 전기현상의 발견과 초창기 뇌파의 연구
1858년 William Thomson에 의해 galvanometer(검류계)가 도입되면서 미세한 전기현상의 측정이 가능해졌다(김대식, 최장욱, 2001). 당시의 galvanometer는 종이에 출력되는 것이 아니고, 코일에 거울을 연결하고 거울에 빛을 쪼여 전위에 따라 거울이 움직이면 그 반사된 빛을 벽에 비추어서 볼 수 있는 장치였다(Munro, 1997). 1870년에는 Fritsch와 Hitzig가 대뇌피질을 전기 자극하여 전기현상이 유발되는 것을 시도하였다. Liverpool의 개업의였던 영국의 생리학자 Richard Caton은 1875년 토끼, 원숭이 뇌의 노출된 표면에서 galvanometer를 이용하여 뇌 전위를 기록함으로써 최초로 동물의 뇌에서 직접 전류를 기록하였다. 이후 Danilevsky(1877)는 25세에 Caton의 연구를 발전시켜 “Investigations into the physiology of the brain”이라는 유명한 논문을 발표한다. 이 논문은 동물 뇌에서의 자발적인 전기 활동뿐만 아니라 전기적 자극에 의한 뇌의 활동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1903년 Einthoven은 작은 전위에도 민감한 string galvanometer를 만들어 전위 기록에 혁신을 일으켰다. 1913년에 Pravidich-Neminsky는 string galvanomter로 개의 좌골신경을 자극하여 뇌의 표면에 나타나는 전기활동을 기록하였고 그 후 1925년에 개의 뇌에서 특이한 자극을 주지 않는 데도 12~14Hz와 20~32Hz로 자발적으로 변동하는 파를 기록하였으며, 이것을 대뇌전도라 명명하였다.

1.2.2. 인간 뇌파 최초 발견자 Hans Berger
인간 뇌의 전기활동을 최초로 보고한 것은 1929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 Hans Berger(1873~1941)이다. 그는 사람과 사람사이의 생각이나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정신에너지가 존재한다고 확신을 하고 있었으며, 이 정신에너지를 움직이는 힘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하여 뇌파를 연구하였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그의 실험에서 중요한 실험이 1차 대전 후 두개골이 파손된 환자들이었다. 1924년 string galvanometer를 이용하여 이들 환자의 경우에도 제법 그럴듯한 뇌의 전기신호가 검출됨을 확인하였다. 1925년에는 반드시 두개골이 파손되지 않은 경우에도 측정될 것이라는 추측을 하고, 그 해 자신의 아들을 피검자로 하여 alpha 리듬을 검출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α(alpha)파, β(beta)파는 그의 명명에 의한 것이고 Hans Berger는 이러한 파를 총칭해서 electroencephalogram(EEG)이라고 명명하였다. 그 후 Hans Berger는 사람 뇌전위를 최초로 발견한 이후에도 수면시의 뇌전위 기록, 저산소증에 의한 효과, 뇌 장애의 부분과 전체 효과, 간질 발작에 의한 극서파복합 기록 등을 최초로 발견하게 된다.

참고문헌
김대식, 최장욱. (2001). 뇌파 검사학. 고려의학.

김명선. (1995). 사상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 ERPs)의 임상적 활용. Kor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4(1), 253~263.

리창림, 정명영, 이동훈. (2011) 반응행위에 미치는 언어자극의 간섭효과: 사건관련전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인지 및 생물,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ce and Biological Psychology, 23(3), 393-409.

이용호. (2009). 뇌기능 측정을 위한 MEG기술. 전자공학회지, 36(11), 1223-1243.

이용호. (2009). MEG를 이용한 뇌기능 연구. 정보과학회지, 27(4), 50-57.

이인용. (2008). 뇌와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뇌파 측정 및 분석 방법.
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18(5), 605-610.

최단비, 김명선. (2012). 강박성향을 가지는 분열형 인격성향군의 재인기억과 암묵기억에 관한 사건관련전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1(3), 823-848.

최인화, 이순형. (2011). 아동의 한국어 문장이해과정에 나타난 사건관련전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 49(2), 37-49.

한동욱, 서병도, 손영민. (2008). 치매에서 정량적 뇌파검사의 유용성. The Journal Korean of Phsical Therapy sience, 9-17.

한승경, 강연욱, 이재홍, 류경희, 오경자. (2006). 신경심리평가 수행을 통한 초기 알쯔하이머형 치매와 혈관성 치매의 신경심리학적 변별, The Korean Journal of Clinal Psychology, 25(4), 987-1010.

American Clinical Neurophysiology Society (2008). Guideline One: Minimum Technical Requirements for Performing Clinical Electroencephalography 1~6.

Brenner, R.P., Ulrich, R.F., Spiker, D.G., Sclabassi, R.J., Reynolds, C.F., Marin, R.S., & Boller, F. (1986). Computerized EEG spectral analysis in elderly normal, demented and depressed subjects.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64(6), 483-492.


Brenner R.P., Reynolds C.F., Ulrich R.P. (1998). Diagnostic efficacy of computerized spectral versus visual EEG analysis in elderly normal, demented and depressed subjects.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69, 110-117.
Brecher, M., & Begleiter, H. (1983). Event related brain potentials to high incentive stimuli in unmedicated schizophrenic patients. Biological Psychiatry, 18, 661-674.

Chao, L.L., Nielsen-Bohlman, L., & Knight, R.T. (1995).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dissociate early and late memory processes.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96, 157-168.

Clementz, B.A., Geyer, M.A., & Braff, D.L. (1997). P50 suppression among schizophrenia and normal comparison subjects: a methodological analysis. Biol. Psychiatry, 41, 1035-1044.

Clementz, B.A., Geyer, M.A., & Braff, D.L. (1998). Poor P50 suppression among schizophrenia patients and their first-degree biological relatives. Am. J. Psychiatry, 155, 1691-1694.

Danilewsky, W.Y. (1877). Investigations into the physiology of the brain.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Charkov.

D. Friedman and E. S. Wheeler. (1994). Event-Related Potentials(ERPs) as Indicators of Risk for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20(1), 63-74.

Donchin, E., & Cole, M.G.H. (1988). Is the P300 component a manifestation of context updating? Behavioral Brain Science, 11, 357-374.

Donchin, E., Karis, D., Bashore, T.R., Coles, M.G.H., & Gratton, G.(1986). Cognitive psychophysiology and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In M.G.H. Coles. E. Donchin, & S.W.Porges(Eds.), Psychophysiology: systems, processes and applications. NY: Guilford press. 702-718.

Duncan-Johnson, C.C., & Donchin, E. (1977). On quantifying surprise: The variation of event-related potentials with subjective probability. Psychophysiology, 14, 456-467.

Ford, J.M., White, P., Lim, K.O., & Pfefferbaum, A. (1994). Schizophrenics have fewer and smaller P300s; a single-trial analysis. Biological Psychiatry, 35, 96-103.

Friedman, D. (1990). Cognitive event-related potential components during continuos recognition memory for pictures. Psychophysiology, 27(2), 136-148.

Goodin, D.S., Squires, K.C., & Starr, A. (1978). Long latency event-related components of the auditory evoked potential in dementia. Brain, 101, 635-648.

Hansch E.C., Syndulko K., Cohen S.N., Goldberg 21, Potvin AR, Tourtellotte WW (1982). Cognition in Parkinson disease: an event-related potential perspective. Ann Neurol, 11, 599-607.

Hillyard, S.A., Hink, R.F., Schwent, V.L., & Picton, T.W. (1973). Electrical signs of selective attention in the human brain. Science, 182, 177-180.

H. Kober, C. Nimsky, M. Moller, P. Hastreiter, R. Fahlbusch and O. Ganslandt, (2001). Correlation of sensorimotor activation with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imaging and magnetoencephalography in presurgical functional imaging : a spatial analysis, NeuroImage, 14, 1214-1228.

H. P., N. N., T. T. (2012). Localization of Abnormal Discharges Causing Insular Epilepsy by Magnetoencephalography. Tohoku J. Exp. Med, 226, 207-211.

Karis, D., Fabiani, M., & Donchin, E. (1984). "P300" and memory: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von Restorff effect. Cognitive Psychology, 16, 177-216.

Kim, M.S., Kang, S.S., Youn, T., Kang, D.H., Kim, J.J., & Kwon, J.S. (2003). Neuropsychological correlates of P300 abnormalitie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sychiatry research. Neuroimaging, 123(2), 109-123.

Knight, R.T., Hillyard, S.A., Woods, D.L. & Neville, H.J. (1981). The effects of frontal cortex lesions on event-related potentials during auditory selective attention. El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