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

 1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1
 2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2
 3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3
 4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4
 5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5
 6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6
 7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7
 8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8
 9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9
 10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10
 11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11
 12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12
 13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13
 14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14
 15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15
 16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16
 17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학] 남북한문화예술교류협력- 문학 중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북한의 문학관과 창작 이념의 실태

1.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2. 3대 이념
1) 당성
2) 노동성
3) 인민성
3. 창작적용 벙법론 - 종자론

Ⅲ 북한문학의 발달과정과 각 시기의 특징

1. 민주 건설기 (1945-1950)
2. 조선해방 전쟁기 (1950-1953)
3. 전후복구와 사회주의 건설기 (1953-1958)
4. 천리마 대 고조기 (1958-1967)
5. 주체시대 (1967-1994)

Ⅳ 남북한 문학의 특징과 실태

1. 남한문학의 특징
2. 북한문학의 특징
3. 김정일 시대의 북한문학의 현황
1) 북한체제의 우월성 - ‘사상중시’ 문학
2) 제국주의 비판과 선군혁명정신 - ‘총대중시’ 문학
3) 생산력 향상과 실험정신 - ‘과학기술중시’ 문학

Ⅴ 남북한 문학 교류 협력을 위한 과제 - 이질성 극복과 동질성의 확대

Ⅵ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북한문학이란 북한이라는 정치, 사회 체제 아래서 씌어지고 읽혀 온 문학이다. 북한문학은 북한 체제 성립이후 시작되었다. 우리로선 북한문학을 우리 문학과 다른 것으로 일단 구별할 수밖에 없는데, 북한문학을 맞은편에 놓을 때 새삼 깨닫게 되는 점은 우리 문학이라고 생각해온 것이 남한문학이었다는 점이다. 남한과 북한은 남남일 수 없기 때문에 남한의 우리는 북한문학을 읽어야 한다. 북한문학의 독서는 북한사회와 사람들을 이해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남한과 북한은 다른 환경 속에서 자랐지만 미묘한 교감을 하는 쌍둥이처럼 여겨질 때가 있다.
북한 문학을 알고 또 이를 통해 남한문학을 다시 보려는 일은 북한문학의 발달을 고찰하는 데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북한문학과 남한문학은 다르지 않은 역사적 뿌리를 갖는다. 쌍둥이가 같은 부모를 갖는 이치다. 그러나 같은 부모 아래 태어난 자식들이라고 해서 같을 수만은 없듯 북한문학은 그 발단부터 남한문학과 다른 모습을 보였다. 북한문학과 남학문학의 나뉨은 해방과 분단이라는 역사적 단절에 따른 것이었다. 때문에 우리는 일단 북한문학을 체제와 이념, 문화 등의 방면에서 급격하게 진행된 대체 과정의 결과로 볼 필요가 있다. 남한과 북한의 체제적 다름과 맞섬은 남한문학과 북한문학을 나눈 결정적 요인이 되는 것이다.
남북한 문화예술 교류 협력의 바탕을 마련하려는 의사소통의 수단 중 하나가 문학의 통합인 것이다. 북한문학의 연구는 남북한이 통일로 이루는데 한걸음 나아가는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통일 이후에 남북한의 서로 다름으로 인해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을 없애는 방안인 것이다. 또한 차후에 남북한의 문학이 하나가 되어 세계적인 문학이 되는 것을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이온죽 외, , 삶과 꿈, 1997.
오기성, , 교육과학사, 1999.
박태상, , 깊은샘, 2002.
신형기 & 오성호, , 평민사, 2000.
김종회, , 청동거울, 2004.
배성인, “남북한 사회문화 교류협력의 전개과정과 특징”
“북한의 문예, 이론과 정책“
“김일성 사망 이전, 북한 문학 둘러보기”
“1990년대 이후 북한 문학의 동향과 특징“
김성수, “북한의 남한 문학예술 인식에 대한 역사적 고찰”
“북한의 문학관 고찰”
“북한의 ‘선군혁명문학’과 통일문학의 이상”
“장편소설론의 이상과 ‘혁명적 대작 장편’ 창작방법논쟁”, 1992.
“북한 문예이론의 역사적 변모과정 고찰”, 1994.
배규환, “남북한 사회통합의 과제와 전망”, 2000.
윤인진, “남북한 사회통합 모델의 새로운 모색”,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