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

 1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1
 2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2
 3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3
 4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4
 5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5
 6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6
 7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7
 8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8
 9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9
 10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10
 11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현대문학의 지속(전통성)과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1900년 전후 ~ 1910년대
(1) 전통성 - 전통 시가 장르의 지속성
(2) 변화 - 시, 소설, 창극에서
2. 1920년대
(1) 전통성 - 국민문학파의 활동 : 시조부흥론, 민요부흥운동
(2) 변화 - 근대문학의 형성과 전개
3. 1930년대 말 ~ 1940년대
(1) 전통성 - 일제 말기 전통의 지속성 : 고전부흥론
(2) 변화 - 모더니티 중심
4. 1950년대 이후
(1) 전통성 - 50년대 이후의 전통논의 : 초기전통론과 방향전환
(2) 변화 - 모더니티 중심

Ⅲ.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한 시대의 문화 속에는 옛 것과 새로운 것, 친숙한 것과 이질적인 것, 민족적인 것과 세계적인 것이 공존한다. 우리나라의 현대 문학사 또한 이와 마찬가지의 양상을 띠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새것 콤플렉스에 갇힌 우리 인식론에 의해 새로운 것, 이질적인 것, 세계적인 것에만 관심을 가진 채 과연 우리의 ‘전통’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는 이어져오지 않았다. 다만 새로운 것, 즉 서구의 사상과 문화만이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여 그것을 들여오고 모방했던 것이다. 여기에서 얻은 것이 우리들 안의 세계화라고 한다면 잃은 것은 우리의 정체성일지 모른다.
우리의 문학사에는 서구의 문학이론과 사조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우리만의 것이 있으므로, 이제 우리는 우리의 문학사를 써 내려가야 할 것이다. 문학적 전통성을 잃지 않되 새로운 문학적 방식을 담아 우리 문학의 독특한 색깔과 함께 그 새로움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장르의 전통성 혹은 문학 속에 담긴 정신의 전통성으로 드러나는 민족주의적 국민문학을 ‘지속’의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고, 서구문학 및 사조 수용으로 인한 ‘변화’의 측면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므로 지금부터 지속(전통성)과 변화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배워왔던 개화기부터 1960년대까지의 문학사를 총정리 하도록 하겠다.
Ⅱ. 본 론
1. 1900년 전후 ~ 1910년대 : 개화계몽기 문학

(1) 전통성 - 전통 시가 장르의 지속성
1910년대 시는 개화기 시가에서 근대시로 넘어오기까지의 과도기로, 근대시의 전사(前史)로서의 시사적 의의를 갖는다.『소년』『청춘』뿐만 아니라 『대한흥학보』『학지광』『신문계』『女子界』『태서문예신보』『惟心』등 1910년대의 잡지나 신문에는 사실상 많은 시가 발표되고 있고, 또한 과거 어느 때보다 형식도 다양하다. 한시 ․ 가사 ․ 시조 ․ 사설시조 ․ 언문풍월 ․ 민요 ․ 창가 ․ 신시 ․ 자유시 ․ 산문시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신구장르의 공존은 신구문화 접변기의 혼효 및 갈등의 반영이었다
참고문헌
김윤식, 김우종 외, 『한국 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0
홍문표. 『한국현대문학사Ⅰ』, 창조문학, 2003
이광식, 『한국현대문학 작은 사전』, 가람기획, 2000
서연호, 『한국근대희곡사』, 고려대출판부, 1996
윤명구, 『한국근대문학연구』, 인하대학교 출판부, 2000
박상준,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신경향파』, 소명출판, 2002
박혜숙, 『한국 현대시 흐름의 양면탐구』, 국학자료원, 2001
김혜니, 『한국 현대시문학사연구』, 국학자료원, 2002
여지선,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전통론과 전통 수용 양상 연구』, 건국대학교, 2004
홍성식, 『한국 문학논쟁의 쟁점과 인식』,월인, 2003
정병욱, 『고전과 현대문학의 재문제』,자유문학, 1956
조연현, 『민족적 특성과 인류적 보편성-서정주와 김동리의 전통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문학예술,1957
조동일, 『전통의 퇴화와 계승의 방향-문학사에서 전통의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창작과 비평, 1966
허혜정, 『1950년대 후반기 동인의 시와 시론연구』, 동국대 대학원, 1993
문혜원, 『한국 현대시와 전통』, 태학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