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1920년대 시, 소설, 연극의 개관 및 특징

 1  [현대문학사] 1920년대 시, 소설, 연극의 개관 및 특징-1
 2  [현대문학사] 1920년대 시, 소설, 연극의 개관 및 특징-2
 3  [현대문학사] 1920년대 시, 소설, 연극의 개관 및 특징-3
 4  [현대문학사] 1920년대 시, 소설, 연극의 개관 및 특징-4
 5  [현대문학사] 1920년대 시, 소설, 연극의 개관 및 특징-5
 6  [현대문학사] 1920년대 시, 소설, 연극의 개관 및 특징-6
 7  [현대문학사] 1920년대 시, 소설, 연극의 개관 및 특징-7
 8  [현대문학사] 1920년대 시, 소설, 연극의 개관 및 특징-8
 9  [현대문학사] 1920년대 시, 소설, 연극의 개관 및 특징-9
 10  [현대문학사] 1920년대 시, 소설, 연극의 개관 및 특징-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20년대 시, 소설, 연극의 개관 및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1920년대 시의 세 가지 갈래
1) 낭만주의 시
2) 프로시
3) 민요시
(2) 1920년대 주요 소설가 및 작품 연구
1) 낭만주의 소설
2) 사실주의 소설
3) 신경향파 소설
(3) 1920년대 극문학의 전개양상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1919년 3.1운동 이후 무단정치로부터 문화 통치라는 식민지정책의 전환에 따른 새로운 환경 속에서 신진 문인들이 대거 등장함으로써 본격적인 문단이 형성되었다. 또한 수많은 문학동인지 잡지와 신문이 태동하여 본격적인 근대문학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임규찬(1998), 한국근대소설의 이념과 체계, 태학사, p. 138-141
그러나 3.1운동에서 온 좌절감과 부정적인 현실인식은 곧 20년대 초기의 문학에서 퇴폐적 낭만주의로 이어졌다. 이러한 낭만주의 경향이 시에서는 김억 & 이상화, 소설에서는 김동인 & 염상섭 등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20년대 중기에는 일제의 수탈이 점차 심해지자 그로 인한 빈궁을 문제 삼는 신경향파문학이 최서해를 시작하여 대두되었고, 사회주의 사상과 결합하여 프로문학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다음에서는 1920년대 초기 중심으로, 20년대 전반에서 시, & 소설 & 연극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1) 1920년대 시의 세 가지 갈래
1920년대 한국의 시는 많은 시련과 혼란을 겪으면서 전개된다. 그것은 당시의 식민지적 정치 사회적 상황과 번역 유입된 세기말적인 외래시의 영향과 러시아 혁명 이후에 급속하게 번져나간 사회주의의 영향 등이 그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결과, 1920년대 초의 감상적 낭만주의 시의 범람이라든가, 20년대 중반 이후부터 문단을 지배하기 시작한 사회주의 시가 양산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다음에서는 1920년대의 한국시를 크게 세 갈래로 낭만주의 시, 프로시, 민요시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낭만주의 시 낭만주의의 일반적이며 상식적인 의미는, 지성적 세계인식에 대하여 감성적 세계인식, 이성적 세계관에 대하여 환상적 세계관이라는 철학을 배경으로 하며, 동경, 현실도피, 원시성 탐구, 민족주의, 복고주의, 역동적 자연관, 독창성 등의 여러 양상을 내포한다. 이러한 전제하에 감성적 세계인식과 환상적 세계관을 철학적 배경으로 한 낭만주의의 여러 양상 중에서 한두 가지 양상을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내는 시를 넓은 의미에서 ‘낭만적 시’로 분류한다.
여기서 낭만주의라 함은 서구식의 개념 그대로의 의미로 쓴 것이 아니다. 낭만주의라는 용어는 그 쓰임에 따라서 서구에서도 시대와 나라에 따라서, 또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달리 쓰여 왔기 때문에 그 개념이 매우 애매하고 이설도 많다. 더욱이 시대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1920년대의 한국에서 19세기의 서구의 낭만주의가 그대로 이식되고 똑같이 적용되었다고 보는 것은 잘못이다. 일반적 내지는 상식적으로 통용되는 ‘낭만적’이라는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1920년대 낭만적 시는, 개화기 시가들이 사회적 기능을 중시한 데 비하여 시의 독자적 원리나 목표를 추구하는 시로 전환되었다는 점에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적 대상에 대하여 개인적이며 감각적인 해석을 하고, 이를 개
참고문헌
권영민(2002), 『한국현대문학사1』, 민음사
김윤식 김우종 외 34인 지음(2000),『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박상준(2002),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신경향파』, 소명출판
상허학회(2000), 『1920년대 동인지 문학과 근대성 연구』, 깊은샘
윤명구(2000),『한국근대문학 연구』,인하대학교 출판부,
임규찬(1998), 『한국근대소설의 이념과 체계』, 태학사,
장덕순(1995), 『한국문학사』, 박이정,
조동일(1990), 『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