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

 1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1
 2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2
 3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3
 4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4
 5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5
 6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6
 7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7
 8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8
 9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9
 10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10
 11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11
 12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12
 13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13
 14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14
 15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15
 16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16
 17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17
 18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18
 19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지과학] 모든 학문의 용광로 인지과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요 약
Ⅱ. 서 론
Ⅱ-1 인지과학의 기본적 입장
Ⅱ-2 인지과학의 내적&외적 정의
Ⅱ-3 인지과학의 정의
Ⅲ. 본 론
Ⅲ-1. 인지과학의 의의
Ⅲ-2. 인지과학의 특성
Ⅲ-3. 인지과학의 연구영역, 연구주제, 연구방법
Ⅲ-4. 인지과학의 학문적 주요 특성
Ⅲ-5 인지과학의 여러 학문들과의 관계
Ⅳ. 결 론
본문내용
Ⅰ. 요 약
Ⅰ-1. 인지과학이란 무엇인가?
Cogno라는 인지과학기술은 무엇이며, 그리고 인지과학은 융합과학기술에서 어떠한 가능성을 제공하며 어떠한 기술을 도출할 수 있는가? 인지과학이란 무엇의 과학이고, 어떤 방법에 의하여 연구하며, 어떤 주제를 다루며, 우리의 일상생활과 과학기술 일반에 주는 의의는 무엇인가? 인지과학의 형성과 발전 경과를 되돌아보고 미래의 발전 방향에 대해 생각해본다.

Ⅱ. 서 론
Ⅱ-1. 인지과학의 기본적 입장
인지과학은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인식 또는 인지가 어떻게 이뤄지는가를 연구하면서,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던 전산학, 인지심리학, 철학, 언어학, 신경생리학, 동물학 등이 함께 참여하면서 구성된, 이제 겨우 50년 남짓의 역사를 가진 신생 학문 분야다. 컴퓨터 과학, 그 중에서도 인공지능의 발전이 인지과학 형성의 모태를 이룬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초보적인 지능 작업을 흉내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에서 출발한다. 오늘날의 산업 생산 현장에서 이전에 사람들이 하던 일을 컴퓨터 장치와 로봇이 대신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는 바로 인공지능이 발전한 결과다. 많은 사람들은 인간의 지능, 인지 자체도 일정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에 다름 아닐 것이라는 생각을 품게 되고, 이러한 생각이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인지과학이 발생하게 된다. 어떤 사물을 보고 그 사물이 무엇인가 판단하는 경우를 보자. 내가 나무를 보는 경우 외부의 나무는 나의 망막에 일정한 모습을 지닌 시각적 상(像)을 맺는다. 망막에 맺힌 상은 조명이 나빠 흐리게 주어질 수도 있고, 다른 사물에 부분적으로 가려서 불완전하게 주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의 인식 체계는 망막에 맺힌 불완전한 영상을 출발점으로 하여 그 영상의 원인인 외부의 대상이 무엇인가를 용하게 알아맞힌다. 이러한 과정은 문제를 내는 사람이 단서를 주고, 대답하는 사람이 그 단서에서 출발해 정답을 맞히는 퀴즈의 경우와 유사하다. 문제를 푸는 사람은 단서들을 종합하고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런 저런 생각을 도출하며 이로부터 답을 찾으려 한다. 답을 찾는 과정에서 여러 추론이 개입한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망막에 일정한 영상이 맺히면 우리의 시각 체계는 그 영상의 색을 탐지하고, 영상에 주어진 음영을 분석해 부분적 형태들을 탐지 종합하고, 다시 색과 형태를 결합해 그 영상의 원인인 외부의 대상이 무엇인가에 대한 시각 판단에 도달한다. 결국 시각에서 보이는 인지 과정은 시각 영상을 단서로 하여 외부 대상을 알아맞히는 문제 해결의 과정이며, 이 과정이 컴퓨터
참고문헌
김영진, 이광오, 이재호, 박주용, 최상섭, 곽호완 (저). 인지심리학. 서울: 학지사.
이정모, 이흥철 (1996). 정보처리 패러다임의 특성. 이정모 (편). 인지심리학의 제 문제 (I): 인지과학적 연관 (55-67 쪽). 서울: 성원사.
이초식 (1993). 인공지능의 철학.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소흥렬 (1999). 인지과학의 철학적 전망.
이구형 (1999). 인간중심의 제품 개발과 인지과학.
이정모 (1996). 연결주의: 이론적 특성과 문제점. 이정모(편). 서울: 성원사. (pp. 115-129)
김영정 (1996). 심리철학과 인지과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김재권 (지음), 하종호 (옮김) (1999). 물리계 안에서의 마음. 서울: 철학과 현실사.
마틴데일, C. (저). 신현정 (역) (1994). 인지심리학: 신경회로망적 접근. 서울: 교육과학사.
소흥렬 (1993). 자연주의적 유신론: 우주의 마음, 사람의 마음, 컴퓨터의 마음. 서울: 서광사.
이익환 (1989). 인지과학과 언어학. 조명한 외 (공저), 인지과학: 마음, 언어, 계산 (271-275 쪽). 서울: 민음사.
이인식 (1992). 사람과 컴퓨터. 서울: 까치.
이일병 (1989). 인지과학과 인공지능학. 조명한 외 (공저). 인지과학: 마음, 언어, 계산 (349-363 쪽). 서울: 민음사.
이정모 (1996a). 연결주의: 이론적 특성과 문제점. 이정모 (편). 인지심리학의 제 문제 (I): 인지과학적 연관 (115-129 쪽). 서울: 성원사.
이정모 (1999d). 인지과학의 개념적 기초 재구성과 인지생태학.
조명한 (1989). 인지과학과 심리학. 조명한 외 (공저), 인지과학: 마음, 언어, 계산 (119-127 쪽). 서울: 민음사.
이정모 (1999e). 마음의 재개념화와 인지과학.
신현정, 도경수, 이영애, 이정모, 김문수, 김민식, 유명현, 김정오, 변은희, 박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