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1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1
 2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2
 3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3
 4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4
 5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5
 6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6
 7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7
 8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8
 9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9
 10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10
 11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11
 12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12
 13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13
 14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14
 15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15
 16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16
 17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17
 18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18
 19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19
 20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 1절 연구의 목적 및 배경

제 2절 연구질문 및 연구가설

제 2장 이론적 배경

제 1절 안보의식의 개념

제 2절 선행연구 고찰


제 3장 연구 분석틀 설정 및 조사 설계 제 1절 연구 분석틀

제 2절 데이터 수집방법 및 조사 설계


제 4장 측정의 타당성 및 신뢰성
제 1절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제 2절 신뢰성과 타당성의 검증

제 5장 분석 결과

제 1절 기술통계 분석

제 2절 요인분석

제3절 상관관계 분석

제4절 회귀분석

제 6장 결론 및 논의

제 1절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제 2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안


* 설문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 1장 서론

제 1절 연구의 목적 및 배경

남북분단이후 우리나라는 북한과의 평화통일을 이루기 위해서 이산가족상봉, 금강산관광사업, 개성공단사업을 진행하는 등 여러 가지 시도와 노력을 계속해왔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남북 간에 불신이 여전히 깊고, 1953년 7월 휴전협정 이후로 북한의 크고 작은 도발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2006년 10월 북한의 1차 핵실험 뒤 국제연합안전보장이사회에서 탄도 미사일 발사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2009년 2차 핵실험에 이어서 2013년 2월 3차 핵실험까지 지속적으로 핵실험을 단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2010년 3월 26일에는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 소속 초계함인 천안함이 북한군의 어뢰공격에 의해 침몰하여 우리 해군 46인이 전사하는 사건이 발생 하였다. 또 북한은 2010년 11월 23일에 대한민국 영토인 연평도에 100여발을 포격하였다. 북한의 이 포격 도발로 인해 해병대원 2명이 사망하고 16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민간인은 2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당했다. 우리나라 군인뿐만 아니라 민간인까지도 중경상을 입거나 사망하였고 각종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입혔으며 우리 국민들은 연평도가 불타는 장면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특히 천안함 사건은 대한민국을 포함한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스웨덴, 영국 등 5개국에서 전문가 24여 명으로 구성된 합동조사단이 2010년 5월 20일 천안함이 북한의 어뢰공격으로 침몰한 것이라고 발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음모론과 의혹을 제기하는 이들은 국론을 분열시키고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며, 국민들로 하여금 사회적 불신을 품게 했다. 이러한 사건들로 남북한이 조금씩 쌓아오던 신뢰가 무너지고 관계가 극도로 악화되었다.
최근에 들어서도 북한은 미사일 발사를 계속 언급하고 개성공단 사업도 중단 됐으며 우리나라에 대한 비방수위를 계속 올리면서 우리나라 국가 안보가 위협받고 남북 간의 긴장이 더욱 고조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은 국가적 비극인 동시에 국민들의 안보의식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중요한 배경이 되고 있다.
국민들의 안보의식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먼저 안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안보의식에 대한 연구 대부분이 국민 안보의식 실태조사 및 안보의식 제고방안에 대한 논의이고, 안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 보고서는 대학생의 안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안보의식을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참고문헌
김용현·박영주 (2011). 국가정체성 확립을 위한 국민안보의식 실태 및 고취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
이옥연 (2004). 안보의식의 성별 차에 대한 담론. 국방연구. 47(2): 199-220.
정병삼·조상근 (2011). 안보의식의 구성요인 탐색. 국방연구. 54(1): 156-157.
성은진 (2008). 군 복무 경험이 안보정책 수용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백승도 (2012). 대학생들의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황태익 (2008). 한국의 안보환경 변화와 국가비상대비체제 발전방안.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균열 (2004). 국가안보의식과 도덕교육. 초등도덕교육.
전웅 (2005). 21세기와 한국의 안보: 국제환경변화에 따른 한국의 안보 위협들.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어수영·이남영 (1998). 한국 대학생 및 고교생들의 민주의식과 안보의식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이념적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김동성 (1996). 신한국안보전략과 국민의식.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이경태 (2001). 한반도 평화 통일에 대비한 안보의식 강화. 大邱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The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Taegu University).
박균열 (2005). 국내 안보갈등에 대한 진단과 안보교육 시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김재홍 (2012). 국민의 안보의식과 국가방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군사학연구소.
김장호 (2011). 연평도 포격 사건 이후 울산시민의 안보의식 변화 분석.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길병옥 (2008). 안보와 경제발전 세미나. 대전: 충남대학교 대학원.
김종영․황중호․이규옹. 2008. 국민 안보의식 제고 방안. 전략논단. 9: 214-233.
박광철. 2011. 통일한국의 군사전략과 적정 군사력 분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