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

 1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1
 2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2
 3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3
 4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4
 5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5
 6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6
 7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7
 8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8
 9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9
 10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10
 11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11
 12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12
 13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13
 14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14
 15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15
 16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16
 17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17
 18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18
 19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19
 20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국의 러시아 외교정책-에너지 안보 정책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및 내용

Ⅱ. 본문

1. 미국의 행정부 별 에너지 안보 정책의 변화
1) 클린턴 행정부
2) 부시 행정부
3) 오바마 행정부
4) 미국의 대러시아 에너지 정책 기본 전략
5) 에너지를 둘러싼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 현황

2. 미국과 러시아의 자원 전쟁 ‘신(新) 거대게임’
1) ‘신 거대게임(New Great Game)이란 무엇인가
2) 카스피 해의 중요성과 이 지역에 대한 미국의 군사력 확장·정책
3) 미-소간 파이프라인 경쟁과 BTC 송유관

Ⅲ. 결론 : 미국의 에너지 안보 정책의 미래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목적

에너지 자원 외교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찾기 위해서는 2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 국가 안보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한다. 흔히 20세기를 ‘이데올로기의 시대’, 즉 이데올로기가 지배한 시대라고 불렀다. 이 시대에는 동서간의 이데올로기 대립이 형성되었고, 사람들은 이 시기를 냉전기라 불렀다. 냉전기의 국가안보(National Security)란 군사 방위와 유사한 의미로써, 군사적 차원에서 외부적 위협에 대흥하는 모든 국가적 노력을 총칭하는 말로 쓰였다.
그러나 스위스 출신 국제정치학자인 아놀드 월퍼스가 1952년 발표한 “모호한 상징으로서의 국가안보”라는 논문에 따르면, 안보연구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국가안보’란 정확한 의미가 없고,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모호한 개념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월퍼스의 지적은 단순히 안보 개념에 대한 정의가 어렵다는 설명을 넘어, 실제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이 다양한 측면에서 존재할 수 있고, 국가의 정책 결정자는 이러한 다양한 안보에 대해 위협을 분별해 내고 대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바로 실천적 의미를 말하고자 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렇게 안보연구의 초기부터 이미 국가안보에 대한 위협이 다양한 형태로 가해질 수 있다는 통찰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성립된 냉전체제 하에서 안보란 일반적으로 국가에 대해 국경 밖에서부터 가해지는 군사적 위협에 대처하는 것으로 편협하게 이해되어 왔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의 안보연구를 바탕으로 한 미국과 러시아(이 당시에는 소련)의 안보정책 역시, 서로의 군사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강력한 군사력을 건설하여 확충하고, 세계적 차원의 동맹을 형성·유지하는 것에 주된 관심을 두고 발전해왔다. 즉 이 당시의 국가안보 위협은 일반적으로 외부국가로부터 오는 군사적 공격만을 의미하며, 국가안보는 곧 군사안보라는 의미로 해석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사회주의 종주국이었던 소련 제국의 패망은 국가안보의 다른 시사점을 제시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소련 제국의 패망은 동서 양 진영 간의 군사적 대결구도가 사라지게 되는 것을 의미했고, 이것으로 국가에 대한 위협은 단순히 군사력만으로 국가안보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교훈을 얻게 되었다. 즉 국가안보의 개념이 기존의 좁은 군사적 측면에서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가해질 수 있다는 인식, 경제·사회·환경 등 비군사적 차원으로 넓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 단행본 》

이재영 외, 「포스트 소비에트 20년 중앙아시아의 미래: 통합 가능성과 균열 요인 연구」 (서울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pp. 20-21.

《 논문 》

강삼구, “신 거대게임: 미국과 러시아간의 카스피 해 에너지자원 획득 경쟁”, 「세계지역연구논총」, (서울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8), Vol.26, No.3, pp 379-407.
이성규 외, “미국의 대러시아 에너지 정책: 현황과 전망에 대한 고찰”, 『비교경제연구, 2006』, Vol.13, No.2, pp.163-196.
황병덕, “동북아 정세 변화와 한국의 동북아 균형자 역할 연구,” 「연구총서 ; 06-10」, (서울 : 통일연구원, 2006), Vol.-, No.-, pp.1-162.

《 인터넷 》

* 강형진, “이상주의적 자유주의-현실주의 나의 생각과 비교 정리를”, 한겨레, 2006-11-19
http://education.hani.co.kr/arti/society/schooling/172758.html
(검색일자: 2013년 6월 9일 일요일)

* 김이삭, “아베·시진핑 날아다니는데... 한국은 관련 예산까지 삭감”, 한국일보, 2013-05-02
http://.media.daum.net/media/economic/newsview/20130502033305719
(검색일자: 2013년 6월 9일 일요일)


* 노희영, “미국 ‘셰일 혁명’…에너지시장 판도 바꾼다.”, 서울경제, 2013-05-19
http://economy.hankooki.com/lpage/worldecono/201305/e2013051918430369760.htm
(검색일자: 2013년 6월 9일 일요일)




* 유철종, “러시아 앞마당에 미국계 송유관”, 중앙일보, 2005-05-27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605229&ctg=13
(검색일자: 2013년 6월 9일 일요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