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

 1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1
 2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2
 3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3
 4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4
 5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5
 6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6
 7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7
 8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8
 9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9
 10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10
 11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11
 12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12
 13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13
 14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14
 15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15
 16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16
 17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17
 18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18
 19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19
 20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가족치료] 머리보웬의 가족치료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서 론

오늘날 목회자들은 가족을 전체로 취급하는데 익숙하며, 가족이나 성에 관한 문제도 잘 다룬다. 그러나 가족의 구성원들이 그들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어려운 문제를 처리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서 전체가족을 만나는 목회자는 거의 없다 John Charles Wynn, “가족치료와 목회사역” 문희경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2002), p.37
.
이혼율의 증가, 미혼 부모의 증가, 심각한 성적 방종, 그리고 부모의 자녀양육 책임포기 등으로 인해서 가정상담의 필요성은 높아만 가고 있다. 오늘날 자식이 부모와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은 점차 감소하고 있고, 부모-자녀의 결속은 약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목사와 기독교 상담자들은 가정 상담에 특별한 기술을 갖추지 않으면 안 된다. 가족을 위한 하나님의 특별한 계획을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모든 가정 상담이 기초해야 할 틀을 제공하는 것이 될 것이다. 조지 레커스, “가정상담 기독교상담시리즈", 오성춘 역,(서울: 도서출판두란노, 1996), p. 35.


최근 Murray Bowen 만큼 가족치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지도자는 거의 없다. 그의 복잡한 이론, ‘Family Therapy and Clinical Practice’에 실린 그의 글들과 그 자신이 전수한 실제 때문에 그는 가족연구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영향을 미쳤다. Ibid., p. 100.

먼저 여기에서 다루어야 할 것은 우선 가족치료의 정의는 무엇이며 가족치료의 이론과 실제 그리고 치료의 범위와 한계들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가족치료(Family therapy)의 용어는 “심리적 문제를 가진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그가 속한 가족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치료양식이다. 즉 가족치료는 가족의 상호 의사소통 형태(mutual communication pattern)와 역학적 구조(dynamic structure) 및 관계를 전환시킴으로서 가족 내의 개인의 문제행동을 전환시키려고 노력하는 치료기법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김상인, “상담심리 용어사전”, (서울: 생명의 샘가. 2000), p. 11.
가족치료를 좀더 넓게 정의한다면 가족 내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가족관계를 수정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Raymond J. Corsini, “현대심리치료”, 김정희․이장호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000), p. 575.

전통적인 심리치료에서는 인간의 정서적 문제나 이상행동을 개인의 문제로 생각하여 고통을 당하고 있는 개인을 치료대상으로 보았다고 한다면, 가족치료에서는 부적응이나 정서적 문제는 가족이라는 하나의 단위가 직면하는 장애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가족치료는 가족 구성원 개인이 나타내는 정신적 증상이나 문제 행동은 가족을 구하기 위한 구조신호로 간주하여 가족 전체를 하나의 단위(가족체계)로 가족 내의 상호작용의 양상에 개입해 가는 치료수단의 총칭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가족 구성원은 충동,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인
참고문헌
1. Wynn, John Charles. "가족치료와 목회사역“. 문희경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2. 레커스, 조지. “가정상담 기독교상담시리즈". 오성춘 역. 서울: 도서출판두란노, 1996.
3. 김상인. “상담심리 용어사전”. 서울 : 생명의 샘가, 2000
4. 인터넷 자료인용 “보웬과 미누친의 이론비교”.
5. 김용태. “가족치료이론”. 서울 : 학지사, 2000.
6. 그날(Head&Heart). “자아분화척도검사”. 자료제공
7. 강진상 외 1. “가족치료”. 하나의학사. 인터넷자료에서 재인용
8. 존스, 스탠드 L 외 1. “현대심리치료요법”. 이관직 역. 서울 : 총신대학교출판부, 1996.
9) Corsini, Raymond J. “현대심리치료”. 김정희․이장호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