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

 1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1
 2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2
 3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3
 4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4
 5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5
 6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6
 7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7
 8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8
 9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9
 10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10
 11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11
 12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12
 13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일상의례복과 상징성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혼례복과 상복의 역사

3. 혼례복의 특징과 형태

4. 상복의 특징과 형태

5. 중국의 혼례복·상복과의 비교

6. 혼례복과 상복의 변천

7. 향후과제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의복이 지나간 역사의 흔적을 더듬어 그 시대를 재조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사람이 인생을 살아가면서 가장 중요한 인륜지대사인 혼례식에 사용되는 여자 혼례복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그 시대 사조가 어떻게 의복에 상징화 되었는가 조사하는 것은 그 시대의 문화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 혼례복과 상복의 역사
(1) 우리나라의 혼례 유래가 고대 삼국시대 문헌에 기록된 점으로 보아 혼례복 역시 이 시대부터 발달되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아직까지 고대 혼례복의 문헌자료나 출토유물이 거의 조사되지 않아, 혼례복의 원류나 실체를 정확히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2) 기록에 따르면 삼국시대에 이미 ‘염습’이라는 말과 함께 죽은 사람에게 입히는 수의개념의 복식이 등장하였다. 기본적인 상례절차와 수의, 상복 등의 복식이 사회적으로 제도화된 것은 순장법이 사라지면서 부터인데, 그 시기는 대개 다음과 같다. 고구려는 동천왕때, 순장법을 금지시켰고, 백제는 고구려와 비슷한 시기에 상복제도를 제정하였고, 신라는 6세기초에 가서야 순장법을 금하고, 상복제도를 정하였다.

3. 혼례복의 특징과 형태
(1) 혼례복 문화의 특징
①전통 사회의 혼례복은 신분과 관계없이 신랑과 신부는 대군과 명부의 예복을 입을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 이처럼 신분과 품계를 초월하여 최고의 옷을 입을 수 있는 풍속을 ‘섭성’이라고 하였다.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고 여겨졌지만 혼례복에서 섭성을 하는 것은 이미 오래된 풍속이 되어버렸다. 혼례의 사치 풍조가 만연하면 만연할수록, 신분제도가 문란해지면 문란해질수록 섭성 풍속은 그 도를 더해갔다. 섭성풍속은 혼례복의 대의 풍속을 만들어 냈다. 상례와 더불어 혼례 때에는 필요한 물건이 많기 때문에 다른 의례보다 옷을 빌려입는 풍속이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조선 후기 민간에서는 수의로 지어놓은 원삼을 세명의 신부에게 빌려 주어야 복을 받는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이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하나의 구실이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김정규(2010). 조선시대 혼례의식에 관한 연구 : 여자혼례복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원광대 동양학대학원
(2) 정경희(2007). 한국의 조형미가 표현된 혼례복 연구 : 전통 혼례복의 요소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3) 김소은(2006). 현대혼례에 나타난 전통혼례복의 변천과 실태. 석사학위논문, 성신여대 대학원
(4) 박혜영(2004). 개항기이후 우리나라 혼례복의 변천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 교육대학원
(5) 은영자(2000). 우리 나라 혼례복의 변천에 관한 연구:개화기 이후를 중심으로. 科學論集.26. pp87-104, 啓明大學校生活科學硏究所
(6) 김영자(1981). 상례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7) 한상일(2011). 상복의 구성과 상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 불교문화대학원
(6) 황의숙(2010). 아름다운 한국복식. 서울:수학사
(7) 국사편찬위원회(2006).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두산동아
(8) 백영자, 최혜율 공저(2000). 한국의 복식문화. 경춘사
(9) 안명숙(2007). 우리 옷 이야기:한국복식문화사. 예학사
(10) 남민이(2002). 상장례 민속학. 서울:시그마프레스
(11) 중국혼례복에 대한 조사
丧服制度, baidu.com, 2013.03.27., http://baike.baidu.com/view/1056405.htm[五服制度]
凤冠霞帔 起源于明代的传统婚礼服展示, news.cn, 2013.03.27.,
http://news.xinhuanet.com/fashion/2013-01/29/c_124252473.htm [新华新闻]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