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

 1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1
 2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2
 3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3
 4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4
 5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5
 6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6
 7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7
 8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8
 9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9
 10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10
 11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11
 12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12
 13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13
 14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14
 15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15
 16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16
 17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17
 18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18
 19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19
 20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 자본이론의 등장배경, 내용과 특징및 적실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절 사회자본이론의 등장배경

제2절 사회자본이론의 내용과 특징

제3절 사회자본이론의 적실성
본문내용
제 1절. 사회자본이론의 등장배경
사회자본이론의 개념
최협의의 개념 - Putnam의 개념
-정의 :“상호편익을 위한 조율과 협동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규범(norm), 사회적 신뢰(trust)”
-사회자본은 사람들간의
“수평적 결사체(horizontil association)”
-사회자본은 사회적 네트워크(시민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지는 연계망-Network of civic engagement)로 구성되어있으며 공동체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규범과 연계되어있다
-사회자본은 자발적 협력을 가능하게 한다

2.광의의 개념 - Coleman의 정의
- “두 가지 공통점을 지닌 다양한 개체(entities)“
+ 두 가지 공통점이란,
①이들 개체들은 사회구조의 양상을 띠고 있어야 한다
②사회구조 내에서 행위자들(개인 혹은 기업 등)의
특정한 행위를 촉진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수평적 결사체뿐 아니라 수직적 결사체까지도 포함)
- 특정한 행위를 촉진하는 일정 형태의 사회자본은 다른
구성원들에게 무익하거나 해로울 수도 있다

3.최광의의 개념 - 정치사회적 환경을 포함
-환경은 사회구조를 형성하며 규범을 발전시키는 역할
-정부, 정치제도, 법치, 사법체제, 시민적·정치적 자유
등도 포함


사회자본이론의 학문적 연원
1.hanifan(1920) - 사회자본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주창(학자들간에 대체적 동의)
-일상 사람들의 사회적 삶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선의, 동료애, 동정, 사회적 교제, 신뢰, 우정, 호혜적 감
정 등을 사회자본의 구성요소로 보았다.
-사회자본이란, 이웃 등과의 교제가 늘어날수록 축적되는
자본으로 구성원들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공동체
내에서 생존조건을 개선시키는 잠재성을 갖고 있는 실체
-지역사회 교육에서 참여가 지닌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용어는 한동안 사라졌다가 1970년대 사회자본
논의가 재등장하였다.

참고문헌
- 사회자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 네트워크를 통한 신뢰 및 상호호혜성 형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 Focused on Formation of Trust and Reciprocity through Networks –박규범. 2011
- 사회자본 이론과 쟁점 =social capital theories and lssues –유석춘 장미혜 정병은 배영 공편역 도서출판 그린
허철행‧허용훈(2007), 한국 사회자본의 한계와 전망.[한국행정논집],19(1)
김태룡(2009), 사회자본론의 적실성에 관한 비판적 함의.
[한국거버넌스학회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