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1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1
 2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2
 3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3
 4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4
 5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5
 6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6
 7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7
 8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8
 9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9
 10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10
 11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11
 12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12
 13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13
 14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14
 15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15
 16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16
 17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17
 18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18
 19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19
 20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개론] 교육학이론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 서론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을 어휘 그대로 해석하면 후기 모더니즘이다. 하지만 이것은 단어 그대로
해석했을 뿐 실제로 포스트 모더니즘을 한 마디로 요약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포스트 모더니즘에 대한 개념이 아직까지 확실하게 서 있지 않고 여러 학자들 사이에서도 논쟁의 대상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원래 포스트 모더니즘이라는 용어는 60년대 일어난 미국의 문화 운동에 대해 뒤늦게 평론가들이 붙인 이름이다. 반세기 지속된 모더니즘이 낳은 병폐를 극복하자는 저항으로 중심주의, 기준, 냉전과 핵실험, 그리고 산업 사회가 가져온 환경 파괴와 자유의 상실에 저항하는 실험이었다.
포스트 모더니즘을 쉽게 말하자면 현재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문화 상황, 즉 후기 산업 사회 전자 매체 시대, 후기 자본주의 사회, 정보화 사회, 컴퓨터 시대, TV, 비디오 영화 시대, 다국적 소비 자본주의 시대 등을 포스트
모던 사회라 규정 하고 있고 이에 따르는 문화 운동이 포스트 모더니즘이라 할 수 있다.


Ⅱ. 포스트 모더니즘의 어원 및 개념

1. 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을 전시대의 사조인 모더니즘의 연속적인 개념으로 보는 견해와 단절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대체로 모더니즘을 배경으로 해서 모더니즘의 문제를 극복해보려고 하는 시도로써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는 경향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는 먼저 모더니즘에 대한 이해가 선행 되어야 할 것입니다.
모더니즘이란 근대주의 또는 현대주의라고 전역하는 것으로써 넓은 의미로는 교회의 권위 또는 봉건성에 반항,과학이나 합리성을 중시하고 널리 근대화를 지향하는 것을 말하고,좁은 의미로는 기계문명과 도회적감각을 중시하여 이른바 현대풍을 추구하는것을 뜻합니다. 원래 '모던'이라는 단어는 '모데르누스'라는 라틴어의 형태로 5세기 말엽 로마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는데,그것은 기독교가 공인되었던 당시와 그 이전 이교도였던 로마의 과거를 구분짓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그후 내용면에서 여러가지 변천을 겪어왔지만 '모던'이라는 용어는 기본적으로 낡은 것으로부터 새로운 것으로의 이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어 왔습니다.
모더니즘의 특징은 합리성과 이성을 중시하며 과학지상주의를 가지고 세계의 체계화와 총체성을 지향하는 것입니다. 모더니스트들은 인간의 이성과 과학의 힘,그리고 인간의 도덕성을 믿기 때문에 역사의 진보를 믿으며 인류의 장래를 낙관적으로 보는 낙관주의자 들이었습니다. 이러한 모더니스트들의 자신감과 낙관주의가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산산이 깨짐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새로운 사조가 대두하게 되는 것입니다.

2. 포스트모더니즘의 어원
참고문헌
1) 목영해,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적 인간상」, (교육학연구,1991)
2) 이승훈, 「포스트모더니즘 시론」 (서울:세계사, 1991), .
3) 매일경제지식프로젝트팀, 「지식혁명보고서」(매일경제신문사,1998)
4) 김정란, 강선보 공저, 『교육학개론』, 전영사, 1997
5) 이합 핫산 저, 장정호 등역, 『포스트모더니즘 개론』, 한신문화사, 1993
6) 이승훈(1991), 『포스트모더니즘 시론』, 서울:세계사
7) 김정환, 강선보 공저, 『교육철학』, 전영사, 1998
8) 김형효, 『데리다의 해체철학』서울, 1993.
9) 최재식(1996a), “삐아제의 발생적 인식론과 메를로-뽕띠의 현상학”
in: 『현상학의 근원과 유역』한국현상학회 편.
10) (1996b), "거비취, 후설 그리고 메를로-뽕띠에 근거한 장(場) 현상학"
in: 『형이상학과 실천철학』한국현상학회 편.
11) (1999a), “합리성과 사회성” in: 『역사와 현상학』, 한국 현상학회 편,
12) (1999b), “아방성, 이방성, 상호문화성”in:『이땅에서 철학하기』 우리사상연구소편, 1999.

▶참고 사이트◀
1) http://home.opentown.net/~sungkey/cyberlecture/post.htm
2) http://www.madang21.or.kr/edu/0007/42/42.html
3) http://www.seti.re.kr/kejr/ke_14310.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