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

 1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1
 2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2
 3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3
 4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4
 5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5
 6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6
 7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7
 8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8
 9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9
 10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10
 11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11
 12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시대 행정체계] 고려시대의 행정조직(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고려시대의 행정조직

I. 중앙행정조직
1. 2성 6부
2. 중추원
3. 도병마사
4. 삼사
5. 어사대
6. 무인집권기의 관제
가) 중방
나) 교정도감
다) 정방과 서방
7. 몽고 간섭기의 관제
가) 관제의 격하
나) 간섭기구의 설치
다) 도평의사사의 강화

II. 지방행정조직
1. 지방행정구역
가) 12목
나) 3경 4도호부 8목
다) 5도 양계
2. 지방자치적 조직

본문내용
고려시대의 행정조직

1. 중앙행정조직

(1) 2성 6부

고려의 최고 정치기구는 2성이었다. 고려는 당의 3성제를 모방하였으나 실제로는 2성을 만들었다. 고려에서는 당의 3성 병립제와는 달리 증서성과 문하성이 합쳐져 중서문하성을 만든 한편 다른 하나의 성으로서 상서성을 두었다. 중서문하성은 실질적으로 최고의 정무기관으로서 그 장관인 문하시중이 수상이 되었다. 상서성은 중서문하성에서 결정된 정무를 집행하는 곳으로서 그 아래 6부가 있었다.
중서문하성은 2품 이상의 재신과 16명의 남사를 합한 25명의 품관과 271명의 이속으로 이루어졌다. 계신들은 형식상으로는 문하성과 중서성으로 구분되고, 또한 품계와 서열에 상하가 있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같은 재부의 고관으로서 함께 국가의 정책을 의논하였다. 한편, 낭사는 저액을 건의하고 그 잘못을 간하는 언론기능을 담당하였으며, 그에 따라 부수적으로 관사의 임명이나 법의 제정에 있어 인준권인 서경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기능은 어사대와 같아서 어사대와 함께 흔히 대성 ․ 대간이라고 불리었다.
상서성은 중앙 최고 기구인 상서부성과 그에 속해서 실무를 담당한 6부, 그리고 6부의 속사로 구성되어 있었다. 상서부성은 지방에 보내는 6부제사의 공문을 일원적으로 취급하였고, 반대로 지방에서 중앙의 6부로 돌려보내는 공문도 접수하는 일을 맡았다. 형식적으로 상서부성이 6부를 통할한 것 같지만 실질적으로는 권력기구가 되지 못하고 하나의 사무기관에 불과하였다. 관원으로는 상서령을 정점으로 하여 좌우복사 이하 9명의 정원과 2명의 도사, 그리고 사무를 보는 39명의 이속이 있었다.
하고 싶은 말
자료들을 뒤적거리며 알짜배기로 간추려 작성한 레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