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

 1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1
 2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2
 3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3
 4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4
 5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5
 6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6
 7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7
 8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8
 9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9
 10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10
 11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11
 12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12
 13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13
 14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14
 15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15
 16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16
 17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17
 18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18
 19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19
 20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자연계열
  • 2016.03.21
  • 23페이지 / pdf
  • 4,000원
  • 12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주지역 안개수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2
1. 연구 동기 및 목적 2
2. 문헌 연구 2

Ⅱ. 시료재료 및 실험방법 4
1. 안개수 채집장치 4
2. 안개수 채집지역 5
3. 안개수 채집활동 5
4. 분석방법 6

Ⅲ. 결과 및 고찰 6
1. 실험결과 6
가. 제주 주요지역 안개 분석 6
(1) 전기전도도 6
(2) 음이온 7
(3) 양이온 10
나. 제주지역 도심권 및 중산간권 안개 분석 13
(1) 제주지역 대기질 중 질소산화물 농도 13
(2) 월별 초기 강수의 pH 변화 13
(3) 염소이온 분포 15
(4) 중탄산이온 분포 15
(5) 전기전도도 분포 16
(6) 해수 기원의 염류 17
(7) 나트륨이온 분포 17
(8) 칼륨이온 분포 18
(9) 황산이온 분포 18
2. 실험결과의 고찰 19
가. 제주 주요지역 안개 분석 19
나. 제주지역 도심권 및 중산간권 안개 분석 20

Ⅳ. 결 론 21
Ⅴ.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22
Ⅵ. 참고문헌 23
본문내용
1. 안개수 채집장치 4
2. 안개수 채집지역 5
3. 안개수 채집활동 5
4. 분석방법 6
참고문헌
1. Okita, T., 1984a, Physical and Chemical Studies of Acid Deposition(Ⅲ), J.Environ. pollut. Contr.(Japan), 20
(3), pp. 73~81.
2. Totsuka, T. 1989, Forest Decline in Relation to Acid Rain, 68(3), pp. 200∼208.
3. Hileman, B., 1981, Acid Precipitation, Environ. Sci. Technol., 15(10), pp. 1119 ∼1124.
4. Galloway, J. N., S. A. Norton and M, R, Church, 1983, Freshwater Acidification from Atmospheric Deposition
of Sulfuric Aci : A Conceptual Model, Environ, Sci. Technol., 17(1), pp. 541A∼545A.
5. Okita, T., 1984b, Physical and Chemical Studies of Acid Deposition(Ⅲ), J.Environ. pollut. Contr.(Japan), 20(6),
pp. 73~82.
6. Beilke, S., 1987, Problems Associated with Long-range Transport of Air Pollution, edited by S. Sandroni,
Elsevier Science publishes, pp. 1∼42.
7. 2013 보건환경연구원보 제23권, 2014. 4,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8. 1997~2005년 제주시 지역 강수의 산성화 및 오염특성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 대학원, 김장환 석사학위
논문, 2008년 2월.
9. 2014 보건한경연구원 주요업무보고(행정사무감사 자료), 2014년 11월.
10. 제60회 전국과학전람회 보고서, 2014년 8월.
11. 제주기상청 풍향자료, 2004~2014.
12. 이총규, 진주시 주변 산림에서 안개의 화학적 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 46(6) pp. 51-57.
하고 싶은 말
○ 제주도는 자체오염원이 거의 없는 국내에서 가장 청정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2008년에 우리나라 최서단 청정지역인 백령도에서 산성비의 기준인 pH 5.6보다 40배 강한 pH 4.0의 산성안개가 관측되었다. 이에 청정지역인 제주에서도 강한 산성안개의 출현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주 지역별 안개를 포집하고 pH와 이온성분을 측정하여 대기환경의 장기적인 변화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특히,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일본과 중국의 중앙에 위치하여 이들 인접국들에 의한 오염영향을 평가하는데 입지적으로 아주 중요한 지역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측정과 자료수집이 이루어져야 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