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

 1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1
 2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2
 3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3
 4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4
 5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5
 6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6
 7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7
 8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8
 9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9
 10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10
 11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11
 12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12
 13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13
 14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14
 15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15
 16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16
 17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17
 18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18
 19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19
 20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자연계열
  • 2016.03.21
  • 22페이지 / pdf
  • 4,000원
  • 12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주지역 지의류 현장 이식을 이용한 대기오염원 분포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요 1
□ 연구 동기 및 목적 1
2. 연구내용 1
□ 선행 연구 고찰 1
□ 연구 주제의 선정 3
□ 가설 설정 4
□ 재료 및 방법 4
3. 연구결과 및 고찰 10
□ 실험결과 및 고찰 10
■ 지의류 세척수 10
(1) 전기전도도 11
(2) 수소이온농도 11
(3) 양이온 및 음이온 농도 분포 12
■ 중금속의 공간적 유형 특성 13
(1) 주요 중금속의 특징 14
(2) 중금속과 질병 16
(3) 중금속의 공간적 분포 유형 16
□ 연구 결론 19
□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20
4. 참고문헌 21
본문내용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 대상지는 제주 화북공업단지 중심(O)으로 동서남북 방향 500m, 1,000m, 1,500m 단위로 각각 500m 간격으로 전체 13개소의 모니터링 장소를 선정하여 지의류를 이식 배치하였다(그림 1). 동쪽 방향의 경우 화북공업단지 중심에서 제주삼화지구 주택지까지 영역이고, 서쪽 방향의 경우 화북공업단지 중심에서 우당도서관, 광덕 사라봉 아파트 주거지까지 영역이다. 남쪽 방향의 경우 화북공업단지 중심에서 마야유치원, 반석아파트 주거지까지 영역이고, 북쪽 방향의 경우 화북주거지 지역인 삼부아파트, 화북1동 금산마을회관까지 영역이다.
지의류를 활용하여 지역별로 시·공간적 대기 오염물질의 거동과 분포특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대기오염 물질 중에서 중금속을 구성하는 개별 금속별로 확산하는 성질과 지역적으로 편재하는 특질들을 서로 비교할 있도록 공간 특성 좌표로 해석이 가능하였다.
특정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기 중의 입자상 물질인 중금속의 경우 500m의 거리에서도 확연하게 농도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차량 통행 등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경우에는 간선 도로변 방향으로 농도가 증가하였던 반면에 다른 요인으로 발생하는 중금속 성분들은 지선(支線)도로에서도 특징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개발사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기오염물질 중의 중금속들은 사업장에서는 단시간에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이미 발생하였던 중금속들에 대하여 시간의 기록처럼 지의류에 흡착되었기 때문에 6개월 이상에서 장기적인 기간까지의 오염 이벤트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 K.I.A. Kularantne, C.R. de Freitas. Epiphytic lichens as biomonitors of airborne heavy metal pollution
○ Luka Paoli, Anna Guttoba, Alice Grassi, Anna Lackovicova, Dusan Senko, Stefano Loppi. Biological effects
of airborne pollutants released during cement production assessed with lichens (SW Slovakia)
○ B. Koz, N. Celik, U. Cevik. Biomonitoring of heavy metals by epiphytic lichen species in Black Sea region of
Turkey
○ Ayda Dogrul Demiray, Irfan Yolcubal, Nihat Hakan Akyol, Gulsah Cobanoglu. Biomonitoring of airborne
metals using the Lichen Xanthoria parietina in Kocaeli Province, Turkey
○ 가강현, 조창덕, 이창근. 1995. 지의류 이식 실험을 통한 대기오염에 대한 반응도 조사. 산림과학논문집
51: pp. 110-114.
○ 허재선, 김판기. 2000. 백운산 서식 지의류를 이용한 오존 민감성 지의류 선발. 한국임학회지. 89: pp. 65-
76.
○ 이기숙. 2003. 지의류 현장배치 방법을 통한 대기오염 분포역 평가. 순천대학교 논문집.
○ 2013년 STEAM R&E “제주 청정 환경과 돌옷 지의류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남녕고등학교
○ 2014년 제60회 전국과학전람회“지의류를 이용한 제주지역 대기오염원 연구” 남녕고등학교
하고 싶은 말
○ 대기오염에 대한 생물지표 가운데 하나인 지의류는 고등식물과 달리 물의 흡수 또는 손실에 관여하는 조절 메카니즘이 없어서 물에 녹아있는 오염물질이 지의류 내로 축적되며, 지의류는 고등식물처럼 세포를 보호하는 외피층이 없어 직접적으로 세포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지의류는 고등식물처럼 낙엽이라는 것으로 생물체내에 노페물을 배출하는 메카니즘이 없기 때문에 노페물이 체내에 축적되며, 동시에 세계 도처에 서식하고, 오랜 기간 생존하며 피해는 항상 축적된 형태이기 때문에 고사에 걸리는 시간은 보다 짧아 피해 확인도 용이하다. 이러한 이유로 도시나 공단 지역의 오염도 지수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생물체이며 그 다양성이나 출현빈도가 오염도에 대한 판단자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 화북공업단지 인근지역에 제주에서 가장 흔한 지의류를 이식 배치하여 일정시간 노출시킨 다음 지역 대기 환경에 대한 지의류의 반응과 지의체 내에 축적된 중금속 함양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여 화북공업단지 지역의 대기 유입 오염원의 현황을 파악 후 지표 생물을 이용하여 대기환경 평가를 위한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대기오염 분포를 지의체를 분석함으로써 대기오염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