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

 1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1
 2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2
 3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3
 4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4
 5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5
 6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6
 7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7
 8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8
 9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9
 10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10
 11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11
 12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12
 13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13
 14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14
 15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15
 16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16
 17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17
 18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18
 19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19
 20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第五回 ?宮娥?誇金盞草 武太后怒貶牡丹花
제오회 초궁아희과금잔초 무태후노폄모란화
第六回 衆宰承宣遊上苑 百花獲譴降紅塵
제육회 중재승선유상원 백화획견강홍진
본문내용
화설태감파탄화예비 상림원모란이천주 전안간이용탄화자료일반
각설하고 태감이 탄불을 미리 준비하여 상림원의 모란 2천 그루가 순식간에 이미 탄불을 써서 반은 구워져버렸다.
群芳圃也是如此。
군방포야시여차
군방포에서도 꼭 같이 하였다.
上官婉兒向公主輕輕笑道:“此時只覺四處焦香撲鼻, 倒也別有風味。向來公主最喜賞花, 可曾聞過這樣異香??”
상관완아향공주경경소도 차시지각사처초향박비 도야별유풍미 향래공주최희상화 가증문과저양이향마
向? [xi?ngl?i]:1) 본래부터 2) 여태까지 3) 줄곧
상관완아는 공주를 향하여 가벼이 미소하며 말했다. “이 때 사방의 타는 꽃향기가 코를 찌른다고 느껴지니 거꾸로 따로 풍미가 있습니다. 전에 공주께서 가장 꽃 감상을 좋아하는데 이런 모양의 기이한 향기를 일찍이 맡아 보셨습니까?”
公主也輕輕笑道:“據我看來, 今日不獨賞花, 還?制藥料?。”
공주야경경소도 거아간래 금일부독상화 환포제약료리
공주는 가벼이 웃으면서 말했다. “제가 보기에 오늘은 꽃을 감상함 뿐만 아니라 다시 약재료를 포제[法製]하는 듯합니다.”
上官婉兒道:“請?公主, 是何藥料?”
상관완아도 청교공주 시하약료
상관완아가 말했다. “공주께 어떤 약재료 같습니까?”
公主笑道:“好好牡丹, 不去?灌, 却用火炙, 豈非六味丸用的炙丹皮??”
공주소도 호호모란 불거요관 각용화자 기비육미환용적자모란마
공주가 웃으면서 말했다. “좋은 모란에 물을 주지 않고 다시 불로 구우니 어찌 육미환에 사용하는 구운 모란이 아니겠는가?”
六味地黃丸:중국 명대(明代)의 『의학정전(醫學正傳)』과 『만병회춘(萬病回春)』의 보익편에 수재되어 있고, 일명 지황환(地黃丸)·육미환(六味丸)·신기환(腎氣丸)이라 한다. 『의방집해(醫方集解)』에는 보양지제(補養之劑)의 대표적 처방으로 수재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에는 잡병편 4의 신허약(腎虛藥)의 항목에서 육미지황환을 찾아볼 수 있고, 『제중신편(濟衆新編)』에는 권3 오장(五臟) 중 신병허실(腎病虛實)에 인용되어 있다. 특히, 『의종손익(醫宗損益)』의 처방집에는 권8 허로(虛勞)의 항에 『만병회춘』의 문헌을 참조하였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방약합편(方藥合編)』에는 상통(上統) 40에 전재되어 있다. 옛날 궁중에서뿐만 아니라 서민층에까지 전파되어 신수부족(腎水不足)의 명방(名方)으로 알려졌고 지금도 계속 사용되고 있는데, 숙지황(熟地黃)을 군약(君藥)으로 하여 산약·산수유·백복령·목단피·택사 등 여섯 가지 생약으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문헌
이여진 경화연
하고 싶은 말
청나라 이여진 경화연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
『경화연(鏡花緣)』은 이여진의 만년의 작품으로, 대략 1820년을 전후하여 쓰여진 것이다. 모두 20권 100회로 무측천(武則天) 때가 소설의 배경이다. 100회 중에 앞의 50회는 당오(唐敖), 임지양(林之洋), 다구공(多九公)이 배를 타고 여러 나라를 유람하고, 당소산(唐小山)이 아버지를 찾는 이야기가 주축이다. 뒤에 50회는 여자들의 재주를 표현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이 이야기는 하늘의 백화선자(百花仙子)가 곤륜산에 내려와 서왕모(西王母)의 성수(聖壽)를 축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경화연』 [鏡花緣] (역사 따라 배우는 중국문학사, 2010. 3. 24., 다락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