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흥부전` 작품분석

 1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1
 2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2
 3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3
 4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4
 5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5
 6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6
 7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7
 8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8
 9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9
 10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10
 11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11
 12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12
 13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13
 14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14
 15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15
 16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16
 17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17
 18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18
 19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19
 20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 `흥부전`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자료 양상
2.판소리계 소설
3.근원 설화
4.줄거리
5.인물
6.사상
7.사회적 배경
8.주제
9.문학사적 의의

Ⅲ.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은 조선후기의 대표적 판소리계 소설로서 당시 서민들에게 사랑받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 , , , , , 등의 이름으로 전해진다. 은 , 등과 더불어 판소리 12마당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인 적층성(積層性) ․ 집단성(集團性)을 뚜렷이 지닌 작품이다.
은 현재까지 소설과 판소리로 전승이 이뤄지면서 이본에 따라 작품의 성격이 상당히 큰 작품이다. 대체로 소설본일 경우는 흥부의 가난과 착함, 형제간의 우애가 강조되고 논리적인데 비하여, 판소리는 제비 노정기와 박타는 대목이 강조되는 등 오락적인 성격이 크다. 따라서 의 성격을 간단히 정리하기는 그렇게 쉽지 않고, 해석 또한 참으로 다양하여 종잡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의 주제 해석이나 인물평가가 각기 다른 것은 연구자가 연구대상으로 삼은 대본이 다른 데도 기인하고, 또 접근하기가 만만치 않은 작품의 구조에도 기인할 것이다. 이러한 점들 이외에도 연구자의 접근 시각 또는 연구방법도 문제가 된다. 조동일은 흥부의 인간상에서 비롯되는 표면적 주제와 놀부의 인간상에서 알 수 있는 이면적 주제를 설명하고, 참주제는 후자라 하여 결국 양반인 흥부를 부정하고, 천민인 놀부를 긍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참고문헌
김창진「興夫傳의 異本과 構成 」,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1
김창진「흥부전의 사상성 고찰」, 국제어문학회 Vol. 16 1995
김태준,『흥부전/변강쇠가』, 한국고전문학전집14,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5
김태준,『한국고전문학전집14 - 흥부전/변강쇠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박을수『한국고전문학전집』, 199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서대석, 모방담의 구조와 의미,『한국 고전산문 연구』, 동화문화사, 1981.
설중환, 흥부전의 상징성과 구조적 의미, 『박병채선생 환력기념논총』,동간행회, 1985,
· 성현애, 「흥부전연구 - 경판 25장을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Vol.4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