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

 1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1
 2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2
 3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3
 4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4
 5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5
 6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6
 7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7
 8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8
 9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9
 10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10
 11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11
 12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12
 13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13
 14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14
 15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15
 16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16
 17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17
 18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18
 19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19
 20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후변화 현황 및 건강영향

2.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노력

3. 우리나라 기후변화 대응 현황 및 건강취약성

4.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
1) 매개체질환 관리
2) 기상재해와 수인성식품매개질환 관리
3) 폭염 및 대기오염 적응 건강관리
본문내용
기후변화의 건강취약성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
전체 사망의 27.3%, 연간 6만 6천여명의 사망자 발생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최근 10년간 2배 이상 증가
심뇌혈관질환의 사회경제적 부담 급증
심뇌혈관질환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5.4조원으로 암(5.5조원)과 비슷한 수준

재해경보, 고온건강경보, 천식예보제 등 예보경보제를 통해 사전 예방적 대응체계를 구축함
생태-매개체-사람 등 전염병관련 전 스펙트럼에 대한 조사감시관리, 발생양상을 기준으로 적극대응, 모니터링을 통한 유입감시를 복합적으로 적용
취약성평가를 통하여 집중관리
기상청,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소방방재청 등 관련기관간 협력, 중복을 막고 효율적인 추진. 국제협력을 통해 질병정보 공유, 해외유입질환관리, 교육프로그램 운영

우리나라에 유행하는 삼일열말라리아 매개모기는 최저온도가 13~15도 이상인 경우에 활발한 활동을 하는데, 70년대 말 적극적인 퇴치사업으로 말라리아가 국내에서 사라진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93년 전방군인에서 발생한 이후로 지속적으로 발생이 증가하고 있음. 발생지역은 아직 휴전선 인근 지역에만 한정되어 있으나,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봄

지난 5년간 말라리아 매개모기 밀도보다 많이 낮은 것을 볼 수 있고 환자발생도 예년의 50% 수준이었음. 그림에서는 최저기온과 말라리아 모기와의 연관성이 없어 보이지만 상관성 분석에서는 매우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음. 특히 최저기온, 강수량 등

일본뇌염은 60~70년대에는 매년 1천명 이상 발생하였으나 예방접종사업, 경보제실시 등 적극적 관리로 매년 10명 미만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음.
그러나 작은빨간집모기가 최초로 수집될 때 발령되는 경보는 매년 시기가 빨라지고 있음(경보일은 환자발생, 매개모기 밀도, 바이러스 분리 등 여러 요소가 연관되어 있어 뚜렷한 양상을 볼 수 없음)
하고 싶은 말
기후변화 적응 건강관리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