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

 1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1
 2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2
 3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3
 4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4
 5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5
 6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6
 7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7
 8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8
 9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9
 10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10
 11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11
 12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12
 13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13
 14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14
 15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15
 16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16
 17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17
 18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18
 19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19
 20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밥류
(1) 흰밥(곤밥)
(2) 보리밥
(3) 반지기밥
(4) 잡곡밥
(5) 좁쌀밥(조팝)
(6) 오곡밥
(7) 기름밥(지름밥)
(8) 톳밥(톨밥)
(9) 쑥밥(속밥)

2. 죽류
(1) 좁쌀죽
(2) 메밀죽
(3) 콩죽
(4) 팥죽
(5) 녹두죽
(6) 들깨죽(유죽)
(7) 닭죽
(8) 고등어죽
(9) 옥돔죽(생선죽)
(10) 문어죽(물꾸럭죽)
(11) 게죽(깅이죽)
(12) 전복죽
(13) 고둥죽(보말죽)
(14) 성게죽(구살죽)
(15) 쪽파죽(패마농죽)
(16) 표고버섯죽(초기죽)
(17) 좁쌀미음(조미음)

3. 수제비와 국수
(1) 메밀수제비(메밀조배기)
(2) 메밀칼국수
(3) 밀수제비
(4) 보리수제비
(5) 꿩 메밀 칼국수
(6) 고기국수(돼지고기국수)

4. 범벅 및 기타
(1) 모멀범벅(메밀범벅)
(2) 깅이범벅
(3) 는쟁이범벅
(4) 보리미숫가루(보리개역)
(5) 칼국
본문내용
1. 주식류
우리나라는 B.C. 5~6세기경 벼농사가 시작되고 곡물의 생산이 증대되던 삼국시대 후기 경에 이르러 밥과 반찬의 반상차림이 형성되었고, 조선 후기에 이르러 전통 한국음식은 가정 음식 유형으로 발달하면서 다양해졌다. 우리 민족의 생활 여건에 가장 알맞게 창안되어 발전해온 이 한국음식은 화려한 궁중 음식과 소박한 서민 음식, 그리고 고장마다 특색 있게 지켜 내려온 향토음식 등을 통틀어 전통음식이라 하게 된다. 즉 자연 환경이 매우 다르고 생산되는 식품이 각각 특색 있고, 그 고장이 겪어 온 정치, 경제, 생활 문화의 변천에 따라 그 고장 나름대로 독특하게 개발되어온 음식과 식습관이 있게 마련이다.
우리나라 상용 식품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곡류로서 쌀, 보리, 조 등으로 밥을 지었고 채소류는 반찬으로 하였다. 이처럼 주, 부식이 뚜렷한 것이 우리나라 일상식 구조의 특징이다. 주식용 곡물은 지역에 따라 특성이 있어 관북 지역에서는 조와 쌀을, 중부 이남에서는 쌀과 보리를 주곡으로 상용하였다. 이것은 각기 지역의 풍토적 특성에 따라 그 고장에서 가장 많이 산출하는 곡물을 주곡으로 상용하였음을 말한다.



1) 밥류
쌀을 제일의 주식으로 삼는 것이 우리나라 식생활 풍속이라 하더라도 서민층으로서는 쌀밥을 먹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쌀밥은 생일날이나 제사 때 구경할 수 있는 형편이었다. 이 지역에서도 밥이라면 먼저 ‘보리밥’, ‘조팝’, ‘곤밥’ 등이 생각난다고 한다. 논이 거의 없고 밭에서 벼가 약간 생산될 정도로 쌀이 귀했던 시절에는 보리, 조, 메밀, 콩, 팥 등의 잡곡이 주식으로 이용되었다.
제주도의 농사는 1년을 둘로 나눠볼 때, 상반기인 초여름까지는 보리농사, 하반기인 늦가을까지는 조를 중심으로 하며 콩, 산디(밭벼), 메밀, 깨 농사가 주류를 이루었다. 농사의 계절적 특성에 따라 보리 수확기가 끝나면 보리(보리밥)가 주곡이 되고, 조 수확가 되면 조(좁쌀밥)이 주가 된다.
참고문헌
이영진, 향토음식의 개념과 조사연구과제, 실천민속학연구, 11:29-56, 2008
이원종, 찰보리의 영양과 이용, U.S. Grains Council, 서울, 2000
이종미, 오세영, 한국성인의 식사에서의 전통식, 비전통식의 섭취실태-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1:147-1154, 1996
장남수, 한국음식의 영양적 우수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 추계학술대회, 2000
장애심, 제주도의 무가음식, 제물과 조리, 월간 관광제주 22(9), 1986
정낙원, 향토음식, 서울, 교문사, 2007.
정혜경, 생활양식 변화에 따른 한국 식생활문화의 변천, 한국영양학회 2001년도 춘계 연합학술대회 초록, 2001
정혜경, 한국음식 오디세이, 서울, 생각의 나무, 2007
제주도의 식생활, 제주도 민속 자연사 박물관, 1995
제주의 민속 Ⅰ. 세시풍속, 통과의례, 전승연화, 제주문화자료총서1. 제주도, 1993
제주의 민속 Ⅳ-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제주문화자료 총서④, 제주도, 1996
제주의 전통음식-오랫동안 전하여온 맛과 멋, 제주도 농촌진흥원, 1993
제주전통음식,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2007
조홍윤, 문화인류학적 측면에서 본 한국식문화의 문제점, 한국식생활문화학회 춘계심포지움, 1998
하고 싶은 말
제주 향토음식 주식류의 이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