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

 1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1
 2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2
 3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3
 4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4
 5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5
 6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6
 7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7
 8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8
 9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9
 10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10
 11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11
 12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12
 13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인문계열
  • 2005.03.23
  • 13페이지 / hwp
  • 2,100원
  • 63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국어문법] ‘문어체’와 문법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문어체의 분류
1. '어체'의 분류
1) '어체'의 전반적 분류
2) '어체'의 문법사실별 분류
① 종결어미
② 종결어미 부분의 문제점
3) '어체'의 장황별 분류

III. 종결어미와 문어체
1. 문어체의 종결어미 체계
2. 문어체 종결어미 성격
1) 문어체 종결어미의 의미
2) 상황별 특성

IV. 문법 사실에서의 문어체
1. 문법 부문별 검토
1) 음운론적 측면
2) 형태론적 측면
3) 통사론적 측면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口語와 文語의 구별은 '문자의 발명' 이라는 뚜렷한 역사적 사실에 의해 확고하게 구별되는 것에 반해서, 口語體와 文語體의 분리는 어떤 역사적 사실에 전적으로 의존 할 수 없다. 또한 이 두 가지 語體가 어떤 필요나 요구에 의해 二分된 것인지의 문제는 언어학적 배경만으로는 설명이 불충분하다.
口語體와 文語體의 문제는 一線言語學에서 드물게 연구되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현격한 차이점을 다루지는 못하였다. 이는 口語體와 文語體의 차이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이번 과제를 통하여 文語體에 관한 문법 연구와 함께 그 예를 찾아보고자 한다.
먼저 口語體와 文語體를 분류 한 뒤, 종결어미에서 나타나는 文語體에 관해 살피고, 문법 사실에 의거하여 文語體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도록 하겠다.


II. 文語體의 분류
1. '어체'의 분류
文語體에 관해 먼저 분류해 보기 전에 口語體와 文語體를 구분하여 본 뒤, 문어체의 문 법 사실별 분류와 장황별 분류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어체'의 전반적 분류
국어를 口語體와 文語體로 구분하기 위해 화자와 청자 사이에 성립하는 發話가 지니는 정보의 내용에 주목해야 한다. 그 發話가 전달하는 정보가 對人的일 경우는 口語體로, 또 記述的인 경우는 文語體로 명명한다.
참고문헌
Naver 백과사전 (검색: 문어체)
김광해 외 4명(2002), 『국어지식탐구』, 박이정, p.64
김미경(2002), “한국어 문어체 담화와 대화체 담화의 선호 논향 구조 비교”, 언어 제 27권 제2호, 한국언어학회
김상준(2003), “남북한 방송보도의 문체적 특성 연구”, 한국사회언어학 봄 학술발표회, pp.29~38
남기심, 고영근(2003),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p.332, p.336
민현식(2000), “한국의 교재의 현황과 개발방향: 한국어교재의 실태 및 대안”, 국어교육7권 단일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박갑수(1994), 『국어문체론』, 대한교과서, pp.345~347
임홍빈, 안명철, 장소원, 이은경(2001), 『바른 국어 생활과 문법』,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p.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