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

 1  [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1
 2  [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2
 3  [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3
 4  [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4
 5  [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5
 6  [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6
 7  [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7
 8  [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8
 9  [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9
 10  [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10
 11  [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어학]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 차이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조사를 선택한 동기 및 기본적인 조사의 이해

2. 본론-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조사의 성격차이
1) 격조사란?
ㄱ. 주격조사
ㄴ. 대격조사
ㄷ. 속격조사
ㄹ. 처격조사
ㅁ. 호격조사
ㅂ. 공동격조사
ㅅ. 구격조사

2) 보조조사란?
ㄱ. ‘ㄴ’(/은, /는)과 ‘(/으)란, (으)랑’
ㄴ. ‘도’, ‘만 ’의 의미
ㄷ. ‘두고’, ‘이리와’의 의미
ㄹ. ‘브터’, ‘ㅺ장’의 의미
ㅁ. ‘셔’ 의미
ㅂ. ‘ㅿㅏ’, ‘곳/옷’, ‘/봇’, ‘곰/옴’, ‘ㄱ, ㆁ, ㅁ’
ㅅ. ‘다ㅸl(다이)’, ‘다히’, ‘자히’
ㅇ. ‘이나(이어나)’, ‘이며’, ‘이여’
ㅈ. ‘잇’, ‘이라셔’
ㅊ. ‘가’, ‘고’

3. 결론 - 중세와 현대국어에서의 차이점에 대한 나의 해석

본문내용
한글맞춤법 제 14항에서는 "조사는 문장에서 실질형태소에 붙어서 단어 사이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그 단어에 특정한 뜻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라고 풀이되어 있다. 즉, 조사란 쉽게 말해 자립성에 있는 말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의 관계를 표시함과 동시에 체언에 붙을 때는 그 모습을 여러 가지로 바꾸기도 한다.
이렇듯 현대국어에서는 조사를 떠올리면 아마도 가장먼저 떠오르는 것이 ‘은,는,이,가’의 주격조사와 ‘을,를’에 해당하는 목적격조사가 아닐까 쉽을 정도로 현대국어에서의 조사라 하면 우리가 말을 하는데 있어 결코 빼 놓을 수 없는 문법범주에 속한다. 하지만, 중세국어 역시 같은 민족 언어 임에도 불구하고 그 양상을 살펴보면 너무나 이해할 수 없는 정도로 현대와는 비교 할수 없을 만큼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 같다. 당연히 중세국어라 하면 ‘ㅿ’‘ㆍ’등 우리가 어떻게 읽어야할지 망설여질 정도이기까지 하다. 따라서, 먼저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에서의 조사를 구분하고 그 차이점을 이해하기 전에 중세국어에서는 어떠한 조사가 쓰여 졌는지를 조사 한후 그 차이점을 밝히고자 노력할 것이다.
참고문헌
- 탑출판사, 1992, 고영근/ 남기근
- 집문당, 1997, 고영근
- 개문사, 1997, 왕문용/ 민현식
- 학지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