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

 1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1
 2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2
 3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3
 4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4
 5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5
 6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6
 7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7
 8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8
 9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9
 10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10
 11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11
 12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12
 13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13
 14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14
 15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15
 16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16
 17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17
 18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18
 19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19
 20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통과학교재연구]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 영역의 비교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 연구의 제한점
C. 선행 연구의 고찰

Ⅲ. 연구방법 및 절차
A. 연구 자료
B. 연구 절차

Ⅱ. 이론적 배경
A. 교육과정의 개요
1. 한국
1) 교육제도 2) 과학교육과정 3)과학교육의 목적, 목표
2. 일본
1) 교육제도 2) 과학교육과정 3)과학교육의 목적, 목표
B. 교과서의 성격 및 기능
C. 교과서의 구성체제
D. 피아제(Piaget)의 지적발달 이론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A. 외재적 측면
1) 전체적인 내용 편집과 글자의 크기
2) 자료구성 비교
3) 종이질
4) 색
5) 참고문헌 및 인용자료

B. 내용적 측면
1) 학습자의 흥미를 끌 수 있는가?
2) 교과내용의 수록 범위는 각각 어떠한가?
3) 학습자의 인지수준에 따른 교과서의 내용수준은 적절한가?
4) 교과내용의 난이도는 어떠하며 학습자 각각의 개인차를 반영하고 있는가?
5) 교과서에 수록된 과학적 개념은 학습자의 이해가 용이하도록 잘 명시되어 있는가?
6) 교과서 내의 실험과 탐구활동의 구성은 적합한가?
7) 교과서 내의 진단평가, 총괄평가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8) 교과서 내의 사용단어들은 이해하기 용이하며 표기가 적절한가?

Ⅴ.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개편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7차 교육과정 과학교과서 (지학사, 블랙박스 도합2권)와 일본에서 최근 출판된 과학교과서 중 계림관 출판사의 과학교과서를 택하여 화학단원에 대해 구성면과 내용면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실정에 맞고 바람직한 중학교 과학과 과정의 개선과 효과적인 학습자료 연구개발의 기초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B.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결과를 판단하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음을 감안하여야 한다.
첫째, 본 연구가 분석한 자료는 불과 두 나라의 자료에 국한하였고, 둘째, 한국과 일본의 모든 과학교과서를 분석한 것이 아니라, 일본의 경우 널리 쓰이는 한 출판사의 교과서가 일본 중학교 과학교과서를 대표하였고, 한국의 경우도 두 출판사의 교과서로 한정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는 과학교과서 중 화학영역에만 한정되어 있으므로 타 분야(물리, 지구과학, 생물)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넷째,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학생들에 대한 인지수준을 조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해석 및 적용하는 데에는 이러한 연구상의 제한점들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7차 과학교육과정 해설서
일본 중학교 이과 1분야 상(上)권-계림관
한국 중학교 과학-지학사
한국 중학교 과학-블랙박스
권재술 등 공저 (1998)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조희형, 최경희 공저 (2001) 「과학교육총론」 교육과학사
정춘희 (1986) 「한국과 일본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화학영역에 대한 비교연구」
임복순 (1992) 과학교육논총 「'흥미도를 향상시키는 과학실험방법의 개발」전북대학교
신영옥 (1987) 「현행 한국과 미국의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에 대한 비교연구」이화여자대학교
오경순 (1989) 「한국. 미국 및 일본 중학교 과학 교과서 화학 영역 비교 연구」 부산대학교
손영주 (1992) 「중국연변 초급 중학교와 한국 중학교 과학교과서중 화학 영역에 대한 비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평제 (1977) 「한국과 일본 실업계 고등학교 화학교과서 비교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이정원 (1986) 「한국과 일본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물리영역에 대한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