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사] 3.1운동연구

 1  [근현대사] 3.1운동연구-1
 2  [근현대사] 3.1운동연구-2
 3  [근현대사] 3.1운동연구-3
 4  [근현대사] 3.1운동연구-4
 5  [근현대사] 3.1운동연구-5
 6  [근현대사] 3.1운동연구-6
 7  [근현대사] 3.1운동연구-7
 8  [근현대사] 3.1운동연구-8
 9  [근현대사] 3.1운동연구-9
 10  [근현대사] 3.1운동연구-10
 11  [근현대사] 3.1운동연구-11
 12  [근현대사] 3.1운동연구-12
 13  [근현대사] 3.1운동연구-13
 14  [근현대사] 3.1운동연구-14
 15  [근현대사] 3.1운동연구-15
 16  [근현대사] 3.1운동연구-16
 17  [근현대사] 3.1운동연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근현대사] 3.1운동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ꠐ 1. 머 리 말 ꠐ
ꠐ 2. 연구의 동향 ꠐ
ꠐ 3. 연구의 주요 쟁점 ꠐ
ꠐ 4. 연구의 과제
본문내용
3․1 운동은 1919년 3월 1일을 기하여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을 말하며, 기미독립만세운동이라고도 한다. 일제의 무단 통치에 의한 탄압 속에서도 꾸준히 성장해 온 항일 민족 의식은 3․1 운동을 계기로 폭발하게 되었는데 이것은 지주, 자본가, 종교인, 지식인, 농민, 노동자, 학생 등 계급과 직업을 초월하여 전 민족이 참가한 거족적인 항일 민족 운동이었으며, 서울에서 시작하여 지방의 중소 도시로, 다시 농촌에까지 확산되어 전국적인 규모로 전개되었던 민족 독립 운동사에서 최대의 항일 독립 운동이었다.
박은식의 통계에 의거하면, 1919년 3월 1일부터 5월 말까지 집회수가 1,552회, 참가인원수가 202만 3,098명, 사망자수가 7,509명, 부상자수가 1만 5,961명, 피체포자수가 4만 6,948명이었다.
3․1운동의 기간은 그 내용이 확실히 밝혀진 일제측 자료에 의해서 보더라도 3월 1일부터 4월 29일까지 꼭 60일간 계속되었는데, 그 중에는 4월 20일과 26일의 2일간만 중단되었을 뿐이었다.
국외에 거주하는 우리 민족도 이에 호응해서 민족운동을 전개하였는데 滿洲․美洲․沿海州지역을 비롯하여 한국 민족이 거주하는 곳에는 고루 전파되어 불길처럼 타올랐다.
3․1운동이 한국민족사에서 그리고 세계사에서 갖는 역사적 의의는 지대하다. 대내적으로 일제의 식민지 무단통치를 근본적으로 파탄시켰으며, 독립운동 역량을 3․1운동 이전과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엄청나게 ‘대비약’을 시켰다. 그리고 국외에서 독립군의 무장투쟁이 본격적으로 형성․강화되어, 국경지방에서의 국내진압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또 3․1운동은 국내에서 새로운 농민․노동․사회운동의 대두에 하나의 계기와 전기를 열어 주었다. 특히 3․1운동을 직접적으로 계승하여 중국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참고문헌
논 문
박은식,「한국독립운동지혈사」,『박은식전서』상권, 檀國大學校出版部, 1975.
金鎭鳳, 「三․一運動의 性格」『三․一運動史硏究』, 國學資料院, 2000.
金鎭鳳, 「三․一運動의 胎動과 展開」『三․一運動史硏究』, 國學資料院, 2000.
金鎭鳳, 「三․一運動과 民衆」『三․一運動史硏究』, 國學資料院, 2000.
이정은, 「3․1운동 연구의 현황과 과제」,『韓國史論』26, 국사편찬위원회, 1996.
신용하, 「3․1獨立運動의 歷史的 動因과 內因․外因論의 諸問題」,『한국학보』58, 1990.
신용하, 「3․1운동 연구의 현단계와 과제」,『3․1운동과 독립운동의 사회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신용하, 「3․1운동의 사회․경제적 배경」,『3․1운동과 독립운동의 사회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신용하, 「3․1운동의 기획과 전개과정」,『3․1운동과 독립운동의 사회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신용하, 「3․1운동의 獨立運動史的 의의」,『3․1운동과 독립운동의 사회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박성수, 「3․1운동에 있어서 폭력과 비폭력」,『3․1운동 50주년 기념논집』, 동아일보사, 1969.
윤덕영, 「3․1운동과 1910․1920년대 부르주아 민족운동」, (안병우․도진순 편)『북한의 한국사 인식 』2, 한길사, 1990.
김성보, 「3․1운동」,『쟁점과 과제-민족 해방 운동사』, 역사비평사, 1990.
권희영, 「소련에서의 3․1운동 연구」,『3․1운동과 민족통일』, 동아일보사, 1989.
강만길, 「남북한 역사인식의 같은점과 다른점」,『창작과 비펑』63, 1989.
박찬승, 「한국근대 민족해방운동연구의 동향과『국사』교과서의 서술」,『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