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三國史記(삼국사기)와 三國遺事(삼국유사)의 詞腦歌(사뇌가)-향가- 인식의 차이

 1  [고전시가론]三國史記(삼국사기)와 三國遺事(삼국유사)의 詞腦歌(사뇌가)-향가- 인식의 차이-1
 2  [고전시가론]三國史記(삼국사기)와 三國遺事(삼국유사)의 詞腦歌(사뇌가)-향가- 인식의 차이-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三國史記(삼국사기)와 三國遺事(삼국유사)의 詞腦歌(사뇌가)-향가- 인식의 차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三國遺事와 三國史記를 비교할 때 가장 큰 특징으로 볼 수 있는 것이 향가, 즉 詞腦歌에 대한 인식의 차이이다. 김부식은 詞腦歌에 대해 일체의 언급을 하지 않은 반면, 일연의 경우 ‘신라사람들이 향가를 숭상하였고, 그 시기는 오래되었으며, 시송과 같은 류이며, 천지귀신을 감동시키는 것이 하나둘이 아니다’라고 말하면서 詞腦歌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김부식이 三國史記에 향가를 기록하지 않은 것은 중국에 대한 事大主義 때문이라고 말한다. 과연 그럴까? 삼국사기의 저자인 김부식의 세계관과 음악관을 알아야만 풀릴 수 있는 문제일 것이다. 아니, 그보다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사뇌가의 대표적인 특성 몇가지를 알아야 보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범하는 실수가 詞腦歌 텍스트를 읽다보니 詞腦歌가 노래라는 것을 망각하는 것이다. 사뇌가는 말 그대로 음악이다. 또한 사뇌가의 대표적인 본질은 바로 ‘能感動天地鬼神’에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저자인 일연과 김부식의 사뇌가에 대한 인식을 알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 해야할 것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