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

 1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1
 2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2
 3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3
 4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4
 5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5
 6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6
 7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7
 8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8
 9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9
 10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10
 11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11
 12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12
 13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13
 14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14
 15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15
 16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론] 서정주 `화사집` - 바다, 벽, 자화상, 문둥이를 통해 알아본 은유적 표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 메타포(Metaphors)
- 바다, 벽, 자화상 그리고 문둥이까지

2. 작품속으로
1) 바다
2) 벽(壁)
3) 자화상(自畵像)
4) 문둥이

3. 나오며
본문내용
1.들어가며

- 메타포(Metaphors)

중.고등학교때부터 이미 은유와 직유등의 비유법등을 도식적으로 암기하고 이해한다고 생각했음에도 불구하고, 또한 수많은 자료를 통해 ‘은유’에 대한 지식을 알고있다고 생각하면서도 막상 직접 작품을 대할때면 그것을 연결시켜 이해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것이 사실이다. 메타포는 비유, 은유, 암유라는 뜻을 가지고 있듯이 , 사물을 생각하거나 설명할 때에 "비슷한 것"을 빌려서, 또는 모방하여 전달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시작하여 많은 학자들에 의해 그 정의가 다양하게 내려짐에도 불구하고 메타포, 은유는 단지 수사법의 일종일 뿐 아니라 대단이 많이 쓰이는 언어의 광범한 현상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원래 구상적 사물을 가리키는 언어가 추상적, 비유적으로 사용되면, 곧 메타포가 된다. 따라서 전의적(轉義的)인 언어는 모두 메타포다.”는 말과 같이 은유적 표현을 찾는다는것은 때론 읽는 독자에 따라서 매우 주관적일 수도 있고, 이미지와 상징과의 혼란을 야기시킬수도 있게 된다. 이 보고서에서는 수업시간에 배운 여러 비유법의 유형을 전제로 작품을 분석했으며 더 나아가 그러한 은유의 표현을 통해 세 작품을 아우를수 있는 주제가 무엇이며, 어떻게 승화되었는지에 대해 중점을 두고자 한다.

- 바다, 벽, 자화상 그리고 문둥이까지

70여 년에 가까운 시작(詩作)활동을 통해 높고, 넓고, 깊은 시 세계를 보여준 이남호 [서정주의 화사집을 읽는다] 열림원 2003
미당 서정의 지금까지 나온 그와 관련된 방대한 양의 서적과 논문등이 있음에도 굳이 또다시 그를 거론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의외로 그에 대한 언어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평이 있기 때문이다. 상허학회 [새로 쓰는 한국시인론] 백년글사랑 203
서정주 시에 대한 그간의 연구결과는 크게 네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수 있는데 시의 이미지나 운율, 화자와 어조, 시간과 공간 등 작품 자체의 의미나 효과를 밝혀내려는 연구경향이 그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작품 자체를 ‘은유’적 표현을 중심으로 밝혀낸 자료는 다른 여러 연구물에 비해 조금 부족한 감이 있었다. 많은 독자들이 초기의 ‘화사집’에 대한 이미지를 나 등의 보들레르의 영향을 받은 악마적이며 원색적인 시풍으로 한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보고서에서 다루게 될 세 작품 바다, 자화상, 벽 등과 더불어 문둥이, 벽, 문등의 작품등에서는 무한욕
참고문헌
김준오(1983),,삼지원

유종호(1995),,민음사

정현종 외(1983),,민음사

P.Wheelwright,,김태옥(역),문학과지성사

서익환 [문학과 인식의 비평] 국학자료원 2001

박제천 [시를 어떻게 고칠 것인가] 문학아카데미 1997

정기철 [상징, 은유 그리고 이야기] 문예출판사 2002

이남호 [서정주의 화사집을 읽는다] 열림원 2003

상허학회 [새로 쓰는 한국시인론] 백년글사랑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