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

 1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1
 2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2
 3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3
 4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4
 5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5
 6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6
 7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7
 8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8
 9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9
 10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10
 11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11
 12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12
 13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13
 14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14
 15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15
 16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16
 17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17
 18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18
 19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19
 20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반사회론]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수 요목기(1946~1954) : 사회과의 성립
2. 제1차 교육 과정기(교과 과정기, 1954~1963) : 초기 사회과 시대, 교과 중심 교육 과정
3. 제2차 교육 과정기(1963~1973) : 사회과의 정착기, 경험 중심 교육 과정
4. 제3차 교육 과정기(1973~1980) : 사회과의 토착화 시기, 학문 중심 교육 과정
5. 제4차 교육 과정기(1981~1987) : 사회과의 성숙기--되돌려진 시계추, 경험․학문․인간 중심 관점의 통합
6. 제5차 교육 과정기(1987~1992) : 사회과의 성숙기, 통합과 지역화의 강조
7. 제6차 교육 과정기(1992~1997) : 사회과의 본질 구현기, 쉽고 재미있는 교과 지향
8. 제 7차 교육과정기 사회과 편제(1997- )
본문내용
1. 교수 요목기(1946~1954) : 사회과의 성립

한국의 사회과는 1946년의 교수 요목기에 성립되었다. ‘사회 생활과’ 교수 요목은 미국 콜로라도 주의 8년 과정을 6년으로 압축한 것이었고, 교육 목적은 ‘사람과 자연 환경과의 관계를 밝게 인식시켜 사회 생활에 성실 유능한 국민이 되게 함.’이었다.
이 교수 요목에서는 사회 기능을 중심으로 선정된 주제를 바탕으로 동심원 확대 방법에 따라 내용을 구성하고, 방법으로는 문제 해결 학습을 지향하고 있어 생활 경험형 교육 과정에 접근하고 있다. 또, 지리, 역사, 공민, 직업 등의 여러 영역을 융합한 단원을 구성함으로써 통합 교과로서의 성격을 뚜렷이 하였고, 사회 생활과가 교과의 중핵적 위치에 서게 하였다. 교수요목기에는 중학교 과정과 마찬가지로 1학년에서 3학년까지 전 학년에 걸쳐 지리, 역사, 공민 영역으로 분리되어 운영됨으로서 형식적으로나마 사회과 내에서 지리 영역이 공민이나 역사 영역과 균등하게 배분되었다.

*교수 요목기의 사회과 편제*
구분
학년
공민
주당
시간
지리
주당
시간
역사
주당
시간
1
2
3
정치편(개론)
경제편(개론)
윤리철학(개론)
2
2
2
지리통론
인문지리
경제지리
2
2
2
인류문화사
우리문화사
인생과 문학
2
2
2



2. 제1차 교육 과정기(교과 과정기, 1954~1963) : 초기 사회과 시대, 교과 중심 교육 과정

1954년의 시간 배당 기준령과 그 이듬해의 교과 과정에 의한 사회 생활과는 교수 요목에 비하여 지적 체계를 극히 존중하는 ‘교과 중심 교육 과정’의 특징을 뚜렷이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교과 중심 교육 과정과 함께 경험 중심 교육 과정을 동시에 지향하고 있어, 제1차 교육 과정은 교수 요목의 연장선상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제1차 교육 과정기의 국민 학교 사회 생활과 교육 과정은 사회 기능을 중심으로 스코프를 결정하고, 동심원 확대법에 따라 시퀀스를 결정하였기 때문에 구성 논리는 교수 요묙의 구성 논리와 같았다. 교과 내용으로는 학년별 단원명과 제목을 제시하였는데, 동심원적 지역 확대 원칙에 의한 생활 경험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제1차 교육 과정에서는 내용을 분과적 또는 계통적으로 다룰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것을 교육 과정의 목표에서 강조함으로써 통합 교과로서의 성격을 뚜렷이 하였
참고문헌
[사회과 교육의 실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김형수 외(2002). 「공통사회(Ⅰ)」, 형설출판사
전숙자(2002).「사회과교육의 통합적 구성과 교수-학습 설계」, 교육과학사
이범주 외(1999).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Ⅰ) 교육부.
서태열 외(1999).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Ⅱ)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