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명창론 레포트

 1  판소리명창론 레포트-1
 2  판소리명창론 레포트-2
 3  판소리명창론 레포트-3
 4  판소리명창론 레포트-4
 5  판소리명창론 레포트-5
 6  판소리명창론 레포트-6
 7  판소리명창론 레포트-7
 8  판소리명창론 레포트-8
 9  판소리명창론 레포트-9
 10  판소리명창론 레포트-10
 11  판소리명창론 레포트-11
 12  판소리명창론 레포트-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판소리명창론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판소리 유파(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 ) ‘제’가 포괄하는 작은범주
2.신재효의 소리꾼이 갖출 조건
3. 명창이 되기 위한 필수코스
4.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명창
5.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명창
6. 19세기 ‘후기명창’
7. 근대5명창
8. 여류명창
9. 마무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더늠
더늠이란 ‘더 넣는다, 더 늘어난다’는 의미로 특별한 명창이 자신의 독창적 창법과 창작의 내용으로 만들어낸 대목이다. 흔히 ‘권삼득제’라든가 ‘고수관제’라고 하여 지칭하는 것은 이들 명창이 특별히 창안한 소리의 더듬을 지칭하는 표현이다. 원래 판소리 명창들은 스승에게 배운 소리를 똑같이 따라서 부르는데 그치지 않고, 더 나은 형태로 바꾸고자 부단히 노력하여왔으며, 그런 가운데 자신의 음악적 역량을 최대로 발휘하는 더듬을 남기게 되는 것이다. 역대 명창들은 모두 한두 대목 이상씩 더듬을 자기고 있었으며, 판소리는 이처럼 수많은 더듬이 쌓여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ex) 권삼득「제비가」, 송광록「긴사랑가」, 고수관 「자진사랑가」, 송흥록「동풍가(東風歌)」, 모흥갑「이별가」, 염계달「남월골 한량」, 임방울「쑥대머리」

2. 바디(=판)
‘받다’에서 나온 말인 듯하며, 판소리의 전승계보와 관련하여서 쓰인다. 같은 스승한테 똑같은 소리를 배워도 각자 개성이 있어서 소리는 조금씩 달라지게 된다. 그 중에서도 배운 대로 소리를 하는 사람들은 스승의 소리에 가까운 소리를 내지만 계보의 순수성을 고집하지 않으려는 개방적인 사람들은 당연히 다른 소리가 되어 버린다. 이렇게 되면 이 소리는 이제 다른 ‘바디’가 된다. 그리고 바디의 이름은 처음 그 소리를 시작한 사람의 이름을 앞에 붙여 부른다. 물론 하나의 바디로 설정되어 이름을 얻기 위해서는 소리가 예술적으로 훌륭해서 청중들의 호응을 받아야 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어떤 사람의 소리를 다른 바디로 설정할 것이냐 말 것이냐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경우는 대체로 합의가 된 상태가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더러 있다.
참고문헌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유영대외, 2002, 월인
명창을 알면 판소리가 보인다, 국립민속국악원, 2000, 국립민속국악원
동편제에서 서편제까지, 오중석, 1994, 삼진기획
다시보는 판소리, 백대웅, 1996, 어울림
한국의 판소리문화, 국제문화재단편, 2003, 박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