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

 1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1
 2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2
 3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3
 4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4
 5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5
 6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6
 7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7
 8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8
 9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9
 10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10
 11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11
 12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12
 13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13
 14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14
 15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15
 16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16
 17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17
 18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18
 19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19
 20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음악] 농악과 사물놀이의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1. 한국의 농악개관
1) 농악의 생성배경
2) 농악의 유형과 변천
3) 농악의 지역성
2. 사물의 이해
1) 사물놀이란
2) 악기의 특징
3. 사물의 원리
1) 사물의 원리
2) 긴장과 이완이 원리
3) 음과 양의 조화의 원리
4. 사물의 짜임새
1) 우도굿
2) 12차
3) 웃라리 풍물
4) 비나리
5. 사물의 연주곡목
1) 웃다리 풍물
2) 웃도굿
3) 12차-영남가락
4) 비나리
5) 설장고 가락
6) 남도 연신굿 노래
7) 바람맞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론

‘사물놀이’는 1978년 2월 공간사랑 소극장에서 창단을 한 놀이패의 명칭이다. 그런데 이제는 놀이패에 그치지 않고, 네게의 타악기인 꽹과리, 장고, 북, 징으로 연주하는 풍물굿을 가리켜 사물놀이라 일컬음으로써 예술 갈래를 지칭하는 말로 변모되었다.
사물놀이가 예술갈래 또는 국악갈래로 자리잡게 된 데는 저간의 사정이 있다. 그 내력을 알려면, 우선 풍물굿을 깊이 이해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조사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풍물굿을 이해하기에는 어려움들이 있다. 그러므로 사물놀이와 풍물굿을 한꺼번에 이해할수 없지만,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한다면 오히려 사물놀이의 특징과 그것이 정착하게 되는 사정을 이해할 수 있으리라 여긴다.
풍물굿은 여러 사람이 춤사위와 발림을 하며 악기를 연주하는 형태이다. 그러므로 규모가 크고 볼 품도 있어서 사뭇 흥겨움과 신명을 안겨준다. 갖가지 진풀이와 다채로운 가락을 연주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사물놀이는 네 사람이 않아서 일정하게 짜여진 틀에다 가락을 얹어 연주하는 형태이다. 규모도 작을 뿐만 아니라, 춤사위와 발림이 없어서 정교하게 짜여진 가락에 의존해야 한다는 한계가 잇는 셈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사물놀이는 풍물굿과는 사뭇 다른 호응과 폭발적 감흥을 준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사물놀이와 풍물굿의 비교를 간단히 도표로 제시하기로 하겠다.
참고문헌

한국음악 제27집 1992년 국립국악원

사물놀이란 무엇인가 1998년 김헌신

사물놀이 배우기 1978년 최병삼

사물놀이 이야기 1995년 김헌신

남사당패 연구 1973년 심우성

호남좌도 농악에 관한 연구 서울대대학원 김현숙

농악 열화당 1986년 정병호

전통적인 짜임새 부족한 사물놀이와 째즈 전통문화 1985년 이보형

김덕수패 사물놀이, 서울공연 예술의전당 1988. 6. 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