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와 문학] 몽골신화

 1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1
 2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2
 3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3
 4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4
 5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5
 6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6
 7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7
 8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8
 9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9
 10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10
 11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11
 12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12
 13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13
 14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14
 15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15
 16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16
 17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17
 18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18
 19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19
 20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화와 문학] 몽골신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몽골인의 생활방식
1) 의식주
2) 명절과 절기
2. 몽골인의 일생
1) 출생과 어린시절
2) 성년과 결혼
3) 노년과 사망
3. 몽골인의 관습
1) 일반행위 및 예의
2) 가치표준과 도덕관념
3) 금기
4. 몽골의 민속 신앙 속에 천신의 모습
1) 텡그리
5. 민화와 동물우화
1) 인도-티벳에서 기원한 민담
2) 지옥순례기
6. 몽골의 건국 신화
1) 대표적 문헌
① 몽골비사(蒙古秘史)
② 사집(史集)
③ 원사(元仕)
④ 황금사강(黃金史綱)
⑤ 황금사(黃金史)
⑥ 몽골원류(蒙古源流)
⑦ 몽골정교사(蒙古政敎史)
2)건국 신화의 내용
① 창랑백록형
② 두와 소코르형
③ 알란 고아형
④ 테무친형
3) 유형별 신화적 의미
① 창랑백록형
② 두와 소코르형
③ 알란고아형
④ 테무친형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신화는 그 시대의 모습을 담고 있다. 그 시대의 사람들의 생활상, 사상, 생각 등 그 시대의 사람들의 모습을 담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건국신화인 단국신화를 보더라도 우리는 그 안에서 그 당시는 농경사회였다는 것을(환웅이 비, 바람, 구름등 날씨와 관련된 사람들을 이끌고 옴) 그리고 인간이 되고자 하는 곰과 호랑이의 모습을 통해 곰족과 호랑이족간의 경쟁을 알 수 있고, 결국 곰족이 경쟁에서 승리했다는 것(곰이 인간이 됨), 또한 곰과 호랑이를 숭배하는 토네미즘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몽골의 신화도 마찬가지이다.
몽골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그리고 넓은 나라를 구축했던 국가였다. 중국의 변방에 위치했고, 작은 부족들로 나뉘어져 있었지만 통일을 이룬 후 전 역사상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대제국을 건설했다. 몽골제국은 1207년 서하에 대한 공격을 신호로 주변국가에 대한 공략에 나섰다. 초원에서 살고 있었기에 고도의 집중력과 기동성을 갖춘 기마병단은 동서양의 각 지역을 유린하면서 역사상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신속히 대제국을 건설했다. 이 당시 몽골에게 무릎을 끓지 않은 나라가 없을 정도였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 시대에 우리나라는 몽골과 끝까지 항전을 다짐하며 몇 십년간을 저항했다. 몽골이 수중전에 약하다는 것을 이용하여 수도를 강화도로 옮기면서까지 항전을 했지만 내부의 분열로 인해 결국 몽골에게 굴복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때 많은 여인들이 몽골로 끌려갔고 우리나라와 몽골의 모습이 닮았다는 것을 이런 역사적 사실에서 찾는 사람도 있다.
참고문헌
조현설 『동아시아 건국신화의 역사와 논리』 문학과지성사 2003
유원수 (역주) 『몽골비사(元朝秘史)』 사계절출판사 2004
발터 하이시히(이평래 繹), 『몽골의 종교』, 소나무(서울), 2003
박원길 『몽골의 문화와 자연지리』 민속원 1999
이효선 『몽골초원의 말발굽소리』 북코리아 2004
최운식 『한국설화연구』 집문당 1994
이정희 역『재미있는 몽골 민담』 백산자료원 2000
체렌소드놈『몽골 민간 신화』 대원사 2001
양민종 『알타이 이야기』 정신세계사 2003
최형원 『몽골민담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