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1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1
 2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2
 3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3
 4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4
 5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5
 6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6
 7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7
 8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8
 9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9
 10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10
 11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11
 12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12
 13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13
 14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김현승 「밤은 영양이 풍부하다」론- 오세영의 텍스트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기존연구의 검토
Ⅲ. 오세영의 관점
Ⅳ. 이미지의 전이양상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김현승은 한국시사에 보기드문 모랄리스트이며, 시대와 현실로부터의 의연한 초월을 기도하는 구도자, 존재의 근원에 도달하고자 하는 자아 탐구자, 인간존재와 사물의 본질을 탐구하는 형이상적 시의 모범을 보여준 시인이다. 이처럼 다양한 평가에도 불구하고, 김현승시의 본질적 의의나 정당한 평가 부여는 아직도 부진한 형편이다. 권영진은 시인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부진한 원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지적한 바 있다.
1) 그의 시가 이땅에서는 이질적인 기독교사상과 신앙의 굴절로 이룩되어 있다는 점,
2) 표현형식(시적 언어)이 우리의 전통적인 사유의 발상법에 낯설다는 점,
3) 그가 왕성한 작품활동을 하던 60년대 후반에 와서 언듯 보기에 기독교적 신앙 과 모순되는 듯한 ‘고독’을 시의 대상으로 추구했다는 검,
4) ‘고독’에 대한 시인의 고백적 진술이 오히려 그의 시에 관한 연구나 비평에 많 은 혼선을 야기시키고 있다는 점 등을 들고 있다.
(김현승시연구 - 고독의 의식화와 시적 변용, 고려대대학원논문, pp.1-2)
그는 1934년 『동아일보』를 통해 詩作생활을 시작한 이래 1975년 타계할 때까지 40여 년 동안 270여 편에 달하는 분량의 작품을 남겨놓았다. 그의 시들은 투명하고 절제된 언어로 종교와 고독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그의 삶은 기독교 정신의 영향으로 지상에서의 물질적, 육체적 삶의 가치를 넘어서는, 천상의 세계에서 영원성을 구하려는 철저한 구도자의 자세를 보여주었다. 그러면서도 선험적으로 수용한 기독교사상을 순수한 인간의 관점으로 재검토하면서 그것을 자신의 시정신으로 삼아 독특한 시세계를 형성하여왔다.
문학사는 한 작가가 구축한 작품세계의 최종적인 평가와 자리매김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김현승이 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직․간접으로 모더니즘의 영향 속에 키워진 시 백철, 『신문학사조사』,신구문화사, 1968년판, p.548.에는 “많은 시를 발표하진 않았으나 김현승은 모더니스트로서 우수한 젊은 시인”이라고만 언급되어 있다.
혹은 “프로테스탄트의 고뇌와 각성을 담고 있는 시” 김윤식․김현,『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p.279.
등의 불투명하고 단편적인 언급의 대상에 그치고 있어, 조연현의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82년판. 에서는 김현승의 이름을 찾을 수 없다.
지금껏 그는 막연히 가을의 계절적 소재를 많이 다룬 시인, 맑고 깨끗한 심성의 세계를 그려낸 시인, 기독교 시인 정도로 치부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처럼 김현승 시의 문학사적 위치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설명이 가능하다. 임명섭, 「김현승 시의 의미구조 해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8.


첫째는 시간적 거리의 문제이다. 즉 그의 작품세계를 조망하고 사적인 각도에서 정리해낼 정도의 충분한 거리가 작품과 연구자 사이에 확보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김현승이 비록 30년대에 등단한 시인이라고는 하나, 그의 시작활동이 6․70년대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우리의 문학사 기술방식의 맹점을 들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 문학사는 가치있는 시․시인들간의 관계의 구성이 아닌 유파․사조의 연대기
참고문헌
각주에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