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우휘의 「불꽃」에 대한 소고

 1  선우휘의 「불꽃」에 대한 소고-1
 2  선우휘의 「불꽃」에 대한 소고-2
 3  선우휘의 「불꽃」에 대한 소고-3
 4  선우휘의 「불꽃」에 대한 소고-4
 5  선우휘의 「불꽃」에 대한 소고-5
 6  선우휘의 「불꽃」에 대한 소고-6
 7  선우휘의 「불꽃」에 대한 소고-7
 8  선우휘의 「불꽃」에 대한 소고-8
 9  선우휘의 「불꽃」에 대한 소고-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선우휘의 「불꽃」에 대한 소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사 검토 및 논의의 방향
2. ‘행동’ 이전과 이후 ‘고현’의 의식 변화 양상
3. ‘동굴’의 상징적 의미
4. 맺음말
본문내용
1. 연구사 검토 및 논의의 방향

이어령이 선우휘의 작품세계를 종래의 작가들이 고수하고 있던 ‘관조’의 세계를 버리고 ‘행동’의 세계로 뛰어든 행동적 휴머니즘이라고 규정한 이어령, 「1957년의 작가들」, 『사상계』, 1958.1.
이래 그의 문학 세계는 행동, 저항, 휴머니즘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이에 대한 논의는 이광훈(「선우휘론」, 『문학춘추』, 1965.2.), 황헌식(「선우휘론」, 『현대문학』, 1972.6.), 김상일(「선우휘론」, 『신한국문학전집24』, 어문각, 1974.), 이재선(「인간주의의 불꽃」, 『선우휘문학선집4』, 조선일보사, 1987.), 배경렬(「선우휘 소설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2.) 등이 있다.
반면 선우휘는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소박한 역사의식의 소유자였으며, 그것이 니힐리즘이나 현실도피적 순응주의로 드러난다면서 그의 문학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시도한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한 논의는 염무웅(「선우휘의 문학」, 『창작과 비평』, 1967.겨울.), 김현(「테러리즘의 문학」, 『사회와 윤리』, 일지사, 1974.), 김윤식(「선우휘문학의 세 가지 의미층」, 『선우휘문학선집2』, 조선일보사, 1987.), 이동하(「선우휘의 연구」, 『우리문학의 논리』, 정음사, 1988.), 한수영(「1950년대 한국소설연구:남한편」, 『1950년대 남북한 문학』, 평민사, 1991.), 이화진(「1950년대 선우휘문학에 나타난 현실대응양상」, 『한국전후문학연구-조건상 편저』, 성균관대출판부, 1993.), 강진호(「전후현실과 행동주의 문학의 실체」, 『1950년대의 소설가들』, 나남, 1994.) 등이 있다.

선우휘의 소설에 대한 평가가 이렇듯 극명한 대척점에 놓이게 된 것은 그의 소설, 특히 그의 대표작이자 출세작인「불꽃」이 메시지가 노골적으로 표면에 드러나 있는 소설 이동하는 이것을 하우저의 분류법을 따라 “이데올로기보다 프로파갠더의 성격이 짙은 소설”이라고 했다.(이동하, 앞의 책, 133쪽.)
이기 때문이며, 이것은 문학과 현실의 관련성 속에서 소설이 갖는 기능적 측면에서 상당히 문제적임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어쨌든 소설은 논픽션이 아니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미학적 틀이 존재하고, 이것은 작가의 사상적인 측면과 유기적으로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관련성을 배제하지 않을 수는 없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 이런 점이 비교적 소홀하게 다루어진 점은 다소 아쉬움으로 남는다.
한편 선우휘 소설에 대한 최근의 논의로 눈길을 끄는 것은 한수영의 글 한수영, 「윤리적 인간, 혹은 반공 이데올로기의 기원-선우휘론」, 『실천문학』(2001. 봄.)
이다. 그는 선우휘 소설의 근저에 있는 ‘반공 이데올로기’ 형성의 기원이 ‘윤리적 인간관’에 있으며, 그의 ‘반공 이데올로기’가 ‘윤리적 인간에 대한 희구’의 반작용으로 형성된 것이라 보았다. 반공 이데올로기는 정치적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윤리적 프리즘으로 인식하려는 것은 분단과 전쟁으로 얼룩진 우리 현대사의 본질에 다가서는 것을 가로막는 잘못된 문제틀이라는 것이다.
이 글은 선우휘 소설에서 ‘반공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정당성을 확보하고 있는지에 대한 근원적 검토로서 분단극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한편 「불꽃」의 경우에 한정시켜 보자면, 선우휘가 이러한 반공 이데올로기를 주
참고문헌
각주에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