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

 1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1
 2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2
 3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3
 4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4
 5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5
 6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6
 7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7
 8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8
 9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9
 10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10
 11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11
 12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12
 13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13
 14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14
 15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15
 16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16
 17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 중세국어 내 단어 형성의 원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0.1. 단어의 짜임새
10.2 파생법
10.3 합성법
10.4. 합성어의 파생
본문내용
10.1. 단어의 짜임새
10.1.1 파생법과 합성법

단어는 형태소 하나로 이루어져 있기도 하고 몇 개의 형태소가 모여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단어 형성법은 실질 형태소에 형식 형태소가 붙거나 실질 형태소끼리 모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는 절차를 말하는 것인데 이를 흔히 조어법이라고 한다.
단어는 그 짜임새가 단일할 수도 있고 복합적일 수도 있다. 형태소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단일어라고 하고 형태소 둘 이상이 결합된 것을 복합어라 한다. 복합어는 그 형성 방식에 따라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가 결합하기도 하고 실질 형태소들끼리 결합한 경우도 있다. 전자의 방식으로 구성된 경우는 파생어가 되며 후자는 합성어가 된다.
중세국어 역시 현대국어와 마찬가지로 한 단어가 단일한 어근으로 성립되는 것도 있고 어근에 접사가 붙거나 어근끼리 합쳐서 복합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어근에 접사가 붙어서 파생어를 만드는 절차를 “파생법”이라 하고 어근이 어울려서 합성어를 형성하는 절차를 “합성법”이라고 한다. 중세국어도 현대국어와 같이 파생법과 합성법에 의해 단어가 형성되었다.


10.1.2 형태음운론
어근에 접사가 붙어 단어가 형성될 때도 음운의 교체가 존재한다.

1) 접두사가 바뀐 경우

ᄎᆞᄡᆞᆯ: ‘ᄎᆞᆯ’이 ‘ᄡᆞᆯ’위에서 ‘ㄹ’가 탈락되어 ‘ᄎᆞ’로 바뀌었다.

2) 어근이 바뀐 경우

ᄀᆞᆯ아마괴: ‘ㄹ’를 끝소리로 가진 접두사 ‘ᄀᆞᆯ’ 아래서 ‘ㄱ’가 후음 ‘ㆁ’로 바뀌었다.

3) 접미사가 붙어 교체가 일어난 경우
가. 어근이 교체된 경우

처ᅀᅥᆷ: 접미사 ‘-엄’이 관형사 ‘첫’에 붙어 ‘ㅅ’가 ‘ㅿ’로 바뀌었다.
참고문헌
고영근,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12.
고영근·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9.
김혜숙·변정민, 모도리가 떠나는 국어학과 국어교육 여행, 월인, 2013.
나찬연 외,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이론편, 교학연구사, 2012.
박덕유, 중세국어문법의 이론과 실제, 박문사, 201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