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중과 구운몽

 1  김만중과 구운몽-1
 2  김만중과 구운몽-2
 3  김만중과 구운몽-3
 4  김만중과 구운몽-4
 5  김만중과 구운몽-5
 6  김만중과 구운몽-6
 7  김만중과 구운몽-7
 8  김만중과 구운몽-8
 9  김만중과 구운몽-9
 10  김만중과 구운몽-10
 11  김만중과 구운몽-11
 12  김만중과 구운몽-12
 13  김만중과 구운몽-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김만중과 구운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2. 김만중 생애
3. 구운몽의 사상
4.구운몽(九雲夢)
4.1. 구운몽의 표제에 대한 문제
4.2. 창작시기와 장소에 대한 문제
4.3. 이본들의 현황
4.4. 원본에 대한 문제
4.5. 비교문학적 연구
5. 북한의 구운몽 연구
5.1.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작품에 대한 평가
5.2. 창작의도 및 창작시기에 대한 논의
5.3. 낭만주의적 형상화 기법의 우수성
5.4. 반봉건적 개성해방을 표출한 주제사 상적 특성
5.5. 양반문인으로서 작가의 제한성
5.6. 조선후기 창작에 많은 영향을 미친 작품
6.나오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1.들어가며
슈테판 볼만의 책 「책읽는 여자」라는 책에서는 여성의 책읽기 문화가 역사적으로 위험한 행위로 말해진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책의 위력 때문일 것이다. 책은 감동을 주기도 하지만, 각성이라는 깨우침도 같이 주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의 여성들이 책을 읽는 것이 많아진 시기는 언문소설이 나타나는 시대이다. 또한 이 시기의 유행하던 풍습 중에 ‘사친’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이것은 나이가 든 부모님에게 책을 지어 올리는 것으로 효도의 한 방법이었다. 그런 사친을 시작한 사람, 그리고 조선시대에 서민들을 위해 한자소설을 언문소설로 만든 사람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를 쓴 서포 김만중이었다. 그는 언문소설을 지으며 ‘오늘날의 많은 사람이 고유한 우리말을 버리고 다른 나라말로 글을 지으니, 그 뜻과 느낌이 비슷하다 해도 그것은 앵무새가 사람 말을 흉내내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이런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는 숙종시대에 가장 사람들이 많이 읽는 베스트셀러였다. 「구운몽」을 쓴 곳은 바로 유배를 간 경남 남해였다. 그는 소설을 통해 헛된 욕망으로 출세를 바라는 인생의 무상함을 표현하고 있다.

2. 김만중 생애
김만중(김만중, 1637~1692)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소설가로 본관은 광산(光山), 아명은 선생(船生), 자는 중숙(重叔), 호는 서포(西浦), 시호(諡號)는 문효(文孝)이다. 조선조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의 증손이고, 충렬공 익겸의 유복자이며, 숙종의 장인인 광성부원군 만기의 아우로서, 숙종대왕의 초비(初妃)인 인경왕후의 숙부이다. 그의 어머니 해평 윤씨는 인조의 장인인 해남부원군 윤두수의 4대손이고 영의정을 지낸 문익공 방(昉)의 증손녀이며, 이조참판 지(遲)의 따님이다. 김만중은 성장하면서 어머니의 남다른 가정교육을 통해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아버지 김익겸은 일찍이 1637년(인조 15) 정축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까닭에, 형 김만기와 함께 어머니 윤씨만을 의지하며 살았다. 윤씨부인은 본래 가학(家學)이 있어 두 형제들이 아비 없이 자라는 것에 대해 항상 걱정하면서 남부럽지 않게 키우기 위한 모든 정성을 다 쏟았다고 전해진다.
참고문헌
-강기룡 정선국어자료실-
-국립국어원 소식지 「쉼표, 마침표」 -
-김광순, 󰡔애산학보28󰡕, 「구운몽 연구의 경향별 검토와 쟁점」, 애상학보, 2003
-김병국, 󰡔서포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서울대출판부, 2002
-김종군외, 󰡔고전문학을 바라보는 북한의 시각 -고전산문2󰡕, 박이정, 2012
-설성경, 󰡔구운몽의 비밀󰡕,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 󰡔구운몽 연구󰡕, 국학자료원, 1999
// 󰡔국학연구총론 󰡕, 「구운몽 남해 창작설에 대해서」, 택민국학연구원, 2010
// 󰡔한국민족문화연구19,20󰡕, 「구운몽」의 주제와 표제의 의미망」, 부산대 한국민족문 화연구소, 2002
-역사 스폐셜 124회 「구운몽, 김만중의 사모곡」
-이강옥, 󰡔구운몽의 불교적 해석과 문학치료교육󰡕, 소명출판, 2010
-정규복, 󰡔구운몽 연구󰡕, 보고사, 20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하고 싶은 말
김만중과 구운몽에 대해 서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