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

 1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1
 2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2
 3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3
 4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4
 5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5
 6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6
 7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7
 8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8
 9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9
 10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10
 11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11
 12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12
 13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13
 14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14
 15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15
 16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술과사회독서보고A+(1장~16장),(아주대학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부터 16장까지 구성되어있습니다.
각 장은
-세계과학자연맹의 과학자 헌장 요약
-프로필을 적는 란
-각 장 요약
-각 장마다 정해져있는 문제에 대한 나의 생각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문내용
기술은 인간의 경제구조나 사회구조를 변화시킨다. 그 중에서도 기계는 특히 인간에게 봉사하기 위해서는 노동의 방법과 조직의 새로운 변화가 일어난다고 말한다. 인간은 기술에 종속된 자로 전락해가고 있다. 심지어 현대인들은 자신이 기술에 얼마나 종속되어 있는지 의식하지 못한 채 살고 인공적인 기술 환경을 당연히 누릴 것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그래서 생명체의 조작기술까지 손에 넣은 현대인류는 기술이 가져다 준 편리하고 풍요로운 생활 속에서도 해소 할 수 없는 불안감과 위기 속에 놓이게 되었다.(2017.3.9.)
인류학자들은 대체로 인류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호모 에렉투스-현생인류의 단계를 밟아 진화했다고 반다. 하지만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현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과 다르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원숭이에 가깝다. 고대 인류로 진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석이 없기 때문이다. (2017.3.9.)
고고인류학적 연구에 의하면 호모 하빌리스는 최초로 석기를 사용한 인류로 추정되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보다 발달된 뗀석기를 만들었다. 호모 하빌리스가 만든 최초의 도구는 끝이 뾰족하게 한 돌조각이다. 호모 하빌리스는 이도구들을 이용하여 사냥을 하하거나 다른 동물이 사냥한 것을 빼앗아 먹기도 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때까지 이들은 자연에서 자신들을 보호하기 충분한 기술과 도구를 보유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2017.3.9.)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방식과 옛 원시인들이 사는 방식은 다르다. 그러나 그들의 생활 속에서도 기술은 다분히 담겨있었다. 이 말은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대략 30만 년에서 20만 년 사이에 외부의 영향으로 도구 제작에 혁신이 일어났다. 이것은 ‘준비된 몸돌’기술이라고 불린다. 이 준비된 몸돌 도구는 제작 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인간의 인지 능력 측면에서 도약을 가져왔다. 구석기인들은 돌뿐만 아니라 뼈나 뿔들을 이용하였으며 조립식 도구를 만들었고 또 도구를 장식하는 것에 흥미를 가졌다. 이 무렵에는 새와 물고기 뼈들이 고고학적 유적지에서 풍부하게 나타나기 시작했고 몸집이 큰 포유동물들의 흔적들이 발견된 적이 있다. (2017.3.9.)
이들은 모두 생산 활동에 매달리지 않았다. 동굴 벽화에도 관심을 가졌다. 이들이 동굴벽화를 통하여 얻고자 한 것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재미와 즐거움, 짜릿함, 감각적이고 정신적인 안도감 등이 있다. 약 1만 2000년 전부터 지중해 해안 부근에서 수렵 채집인들은 새로운 생활방식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이들은 끊임없이 이동하는 것 대신 꽤 오랜 기간동안 머물 거주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정착을 보여주는 유물 가운데는 돌절구가 있다. 이들은 동물을 한 곳에서 키우기도 했으며 땅을 파내 만든 둥근 방에 덤불로 만든 지붕을 얹은 영구적인 형태의 집을 짓고 살았다. 사람들이 정착을을 시작하면서 생활방식이 바뀌었다. 이제 이들은 여기저기 움직이며 살지 않아도 되었다. 이 것을 통해 이들이 ‘재산’을 소유하게 되었다.. (2017.3.9.)
모든 생명체는 자연에 적응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태된다. 동물들은 수시로 몸의 색도 변화 시키고 자연을 작게나마 변화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인간이 살아남기 위해 하는 행동에 비하면 동물들의 적응 활동은 매우 빈약하다. 인간은 오랫동안 자연에 적응했을 뿐 아니라 자연과 자신에 대한 지식을 축적해왔다. 인간은 마침내 주위의 자연을 자신의 필요에 맞게 이용하고 조작하는 지적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 발전에 있어서 사회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기술의 수요가 양,질적으로 확대되면서 집단의 노력이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되었다. 기술의 역사를 보면 인간이 사용하였던 도구의 생산과 발전은 집단 혹은 조직의 수요와 개발 노력에 따라서 그 궤적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2017.3.9.)
참고문헌
박영무 ,『인간 기술 사회』,(서울:학산 미디어,2013)
하고 싶은 말
아주대학교 기술과 사회 독서보고 자료입니다.
1~16장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책에서 말하고자하는 내용, 참고문헌, 출처가 명확한 자료입니다.
박영무 교수님에게 A+받아 검증된 자료라고 생각되며 다른 자료도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